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합-한국도 합당… 막내린 ‘꼼수 비례정당’
"준연동형 비례제, 20대 국회 내 폐지해야"

[사진=미래통합당 주호영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오른쪽)와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양당 합당 관련 기자회견 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헤럴드경제] 미래통합당과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14일 합당에 사실상 합의했다.

주호영 통합당 대표 권한대행(원내대표)와 원유철 미래한국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회동 후 기자회견을 열어 “조속한 합당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합당 시한에 대해선 “최대한 빨리한다는 데만 합의했다”고 밝혔다. 통합당이 한국당을 흡수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점쳐진다.

합당이 성사되면 통합당의 지역구 당선인 84명과 미래한국당의 비례대표 당선인 19명을 합쳐 103석이 된다.

양당은 합당을 위해 수임기구를 구성할 계획이다. 수임기구에는 각 당에서 2명씩 참여한다.

주 원내대표와 원 대표는 또 “여야 합의 없이 '4+1 협의체'가 일방적으로 통과시킨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해를 총선에서 확인한 만큼, 이를 20대 국회 내 폐지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비례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과 전날 합당했다. 민주당이 시민당을 흡수 합당했다. 민주당은 지역구 당선인 163명에 시민당의 비례대표 당선인 14명을 더해 177석이 됐다.

허윤정 민주당 대변인은 “두 당의 합당 결정은 늦었지만 환영할 일”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 통합을 완료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