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코로나19 여파 6개월 지속 시, 제조업 67% 한계기업 전락
부산상의, 코로나19에 따른 제조업 비상경영대책 현황 조사
포스트 코로나 최우선 경영전략 ‘생산 증대’, ‘공급망 다변화’
[부산상공회의소 제공]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부산 제조업에도 이미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코로나19의 영향이 장기화된다면 상당수의 부산 제조 기업들이 한계기업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최근 부산의 주요 제조업체 200여 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제조업 비상경영대책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조사 내용은 코로나19의 영향에 대한 감내 가능 기간, 비상경영대책 수립 유무와 세부 내용,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향후 경영 전략 등이다.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현재의 상황이 지속된다면, 3개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한 곳이 34.5%나 됐다. 이는 조사 기업 10곳 중 3곳 이상이 3개월 내 한계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의미다.

뿐만 아니라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만일 코로나19의 영향이 향후 6개월 이상 지속되면 조사기업의 67%가 한계기업으로 내몰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조업에 대한 경영안정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3%의 기업은 1년 이상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돼도 감내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 석유관련, 의복, 전자·통신장비 등의 업종에서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비상경영대책을 시행 중이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조사기업의 49%였다. 시행중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39.5%, 시행을 검토 중인 기업이 9.5%로 확인됐다. 비상경영대책에 대해 계획이 없다고 한 기업도 51%로 높은 비중을 보였지만, 상황 장기화시 한계기업으로 내 몰릴 수 있는 기업의 비율을 감안하면 별 다른 대응책을 세우지 못한 기업도 다수 포함됐다고 분석했다.

현 상황에서 지역 제조 기업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비상경영대책은 ‘생산 축소’였다. 비상경영계획을 시행중이거나 검토 중인 기업의 55.4%가 이를 시행중이거나 고려중인 것으로 확인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고용 조정 16.0% ▷현금 유동성 확보 14.5% ▷투자 축소 8.3% ▷감염 확산 방지 노력 5.8% 순으로 확인됐다.

세부 대책별로는 생산 축소를 위해서는 ‘공장가동 축소’가 28.3%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연장 근무 제한 20% ▷연차 독려 16.1% ▷단축 근무 16.1% 등 근무 시간을 줄이는 것과 매출목표 자체를 축소한 곳도 19.4%나 됐다.

고용 조정을 선택한 기업의 경우는 구조조정이나 임금 삭감 등 고강도 대책보다는 ‘휴직’이나 ‘채용 축소’등을 통한 고용 유지에 초점을 맞춘 곳이 많았다. 응답 업체의 34.6%가 휴직을 유도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채용 취소·축소’도 28.8%나 됐다. 그 외로는 ‘구조조정’ 23.1%, ‘임금 삭감’ 13.5% 순으로 나타났다.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서는 은행권을 통한 ‘경영안자금 대출’이 55.3%로 가장 많았으며,‘대출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를 진행한 곳도 40.4%였다. 반면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을 대비해 기업의 성장 동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산 매각’을 진행 중인 기업은 4.3%에 불과했다.

포스트 코로나19를 대비한 최우선 경영전략에 대해서는 경영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생산 증대’와 ‘공급망 다변화’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향후 경기 회복에 맞춰 생산 증대와 이를 위한 채용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이 21.2%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로 인해 중국산 원부자재 수급에 큰 애로를 겪으면서 ‘공급망 다변화’를 고려중인 기업도 20.3%나 됐다. 다음으로는 ‘자동화 투자 확대’ 8.3%, ‘공장 스마트화 추진’ 7.1% 등 생산 혁신에 대한 비중이 높았고 ‘조직 혁신’, ‘재택근무 시스템 구축’에 대해서도 각각 7.9%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제조업의 특성상 코로나19의 영향이 유통이나 서비스업에 비해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국내 진정 상황으로만 회복을 장담할 수 없고 전 세계적인 팬데믹 현상을 감안하면 현장에서는 장기화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며 “제조업은 고용 안정의 버팀목인 만큼 부산시는 물론 정책당국의 보다 철저한 대비와 지원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