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재차관, “코로나19로 ‘글로벌 리쇼어링’ 주목…선진국 중심 리더십 기대 어려워져”
혁신성장정 책점검회의…“G7, G2가 G0로 불리며 리더십 약화”
“1인가구 정책 재점검…‘대한민국 동행세일’ 등 내수촉진책 추진”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8일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세계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리쇼어링(제조업 국내 귀환)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주요 7개국(G7)이나 주요 2개국(G2) 등의 표현이 G0로 불리는 등 선진국의 리더십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며, 격변의 시기에 정부는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하는 자세로 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에서 “세계무역의 둔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글로벌 가치사슬(GVC)의 고리가 약화되면서 중간재 공급을 특정국에 과도하게 의존한 경우 완제품 생산과 공급이 더 어려워지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재고를 최소화하는 적시생산 전략보다 재고를 비축하는 비상대비 전략이 중요시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차관이 8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한걸음 모델과 1인가구 대책 등에 대해 논의했다. [기획재정부 제공]

그는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의 변화조짐도 뚜렷하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와 달리 코로나19 충격은 선진국·개발도상국 모두를 동시 혼란에 빠뜨렸다”며 “어느 국가가 더 낫다고 볼 수 없는 난맥상에서 과거와 같은 선진국의 원조 제공, 정책방향 제시 등의 리더십은 기대하기 어려워졌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과거 G7, G2 등의 표현이 이제는 G0로 불리며 글로벌 리더십의 약화를 상징하고 있다”며 “이 모든 변화는 글로벌 불확실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위기와 불확실성의 시대에 경제적 복원력을 높이는 것이 지속성장의 척도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한국판 뉴딜 정책 등을 언급하며 “방역을 철저히 하는 것을 전제로 '대한민국 동행세일'을 포함한 내수 활성화 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나가겠다”며 “정부의 노력이 공허한 외침에 그치지 않고 민간의 소비, 투자심리 진작이라는 더 큰 메아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 안건인 신사업 도입을 위한 사회적 타협 메커니즘으로 추진중인 ‘한걸음 모델’과 관련해 “상생에 기반해 혁신을 촉진하는 한걸음모델 방안을 조속한 시일 내 확정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1인 가구 정책과 관련해서는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조정이 1인가구 비중이 높은 임시일용직,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 중심으로 이뤄져 경제적 삶의 기반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며 “1인가구의 생애주기와 생활기반 별로 마련된 정책이 충분한지,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