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전 등 에너지 공기업의 신제품·신기술 출시 규제문턱 확 낮춘다
산업부, 소관 기관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과제 67개 발굴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한국전력공사 등 에너지공기업도 신제품이나 신기술의 출시를 우선 허용한 뒤 규제하는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방식을 적용키로 했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7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공공기관 규정 대상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전환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2017년 9월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방식을 도입한 후 중앙부처 법령과 지방자치단체 자치법규를 대상으로 네거티브 규제 전환을 점진적으로 추진해왔다. 2018년부터 모두 4차례에 걸쳐 377건의 규제를 개선했다. 이번에 그 대상을 국민 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공공기관 규정으로 확대한 것이다.

산업부는 여기에 발맞춰 에너지 공기업 등 소관 공공기관과 협력해 중소기업 지원 확대, 사회적 기업 지원 범위 유연화 등을 위한 개선 과제 69건을 발굴했다. 전기안전공사, 한전 KDN, 동서발전, 석유관리원은 사내벤처 신청 자격 또는 사업 대상을 확대해 혁신 분위기를 조성한다.

한국전력기술, 서부발전, 지역난방공사는 연계 협력이 가능한 중소기업의 범위를 넓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과 사업참여 기회를 보다 폭넓게 제공한다. 동서발전, 남동발전, 가스안전공사는 영세한 계약상대방이 유리한 방향으로 계약 보증금이나 선급금 지급 규정을 개선한다.

중부발전은 계약 상대방이 선금을 지급받기위한 오프라인 행정절차를 대신해 간소화된 온라인 방식도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할 예정이다. 석유공사, 한전 KPS, 남부발전은 민간 서비스 이용자 등 이해관계인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한다. 동서발전, 남부발전, 가스공사는 포용 사회 기반을 확산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이외에도 신산업·신기술 발전을 제약하는 경직적인 규정을 개선하거나 조달시장 참여 범위를 확대해 에너지 공기업의 네거티브 규제 전환을 촉진할 방침이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