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천 참사’ 유가족 첫 회견…“안전지침 강화·책임자 엄벌해야”
5일 대책위 구성 후 분향소 앞에서 첫 기자회견
정부 등에 정확한 진상규명·재발방지 대책 요구
“유사사고 재발, 관리인력 부족 탓…法개정해야”
“건우 등 공사 관련 3개 회사의 연락 기다리겠다”
“먼저 연락 안해”…일부 유족은 울분 터뜨리기도

4일 오후 이천 물류창고 화재 참사 합동분향소가 마련된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 서희청소년문화센터 앞에서 유가족로 구성된 이천 물류창고 화재 참사 유가족대책위원회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주소현 기자/addressh@heraldcorp.com

[헤럴드경제(이천)=주소현 기자] 이천 물류창고 화재 참사 유가족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4일 “화재의 정확한 사고 경위와 발생 원인 진상 규명을 정식으로 요청한다”며 처음 입장을 밝혔다. 대책위는 더 이상의 사고를 막기 위해 관리 인력 충원이 필요성을 강력히 요구했다. 이 단체는 ‘이천 참사’ 희생자 38명의 유가족들로 구성됐다.

대책위는 이날 오후 합동 분향소가 마련된 경기도 이천시 창전동 서희청소년문화센터 앞에서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다. 대책위는 이날 세 시간 가까이 마라톤 회의를 한 끝에 정리된 입장을 발표했다.

대책위는 정부에 안전 지침 강화와 책임자 엄벌을 강력히 요구했다. 안전관리 인력의 확충도 촉구했다.

박종필 대책위 대표는 “이번 사고는 정부가 건설 현장에 있는 시설 근로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에도 관리 감독을 소홀히 했고, 특히 고용노동부의 안전관리 인력 고용 부족 등 태만하고 기만적인 구조로 벌어진 사고”라며 “더이상 변명하지 말고 법 체계를 개선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사기관을 향해서도 “철저히 수사해 잘못을 명명백백히 밝힐 수 있도록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대책위는 유사한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박 대표는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로 인해 수많은 이들이 사망했다”고 했다. 이어 “그 당시 정부는 똑같은 변명을 했다. 법을 개정해 다시는 화재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하겠다고 우리 국민들에게 약속했다”며 “하지만 매번 이런 사고가 발생한다”고 꼬집었다.

대책위는 “당시 안전요원이 1명이라도 있었다면 이 같은 대형 참사가 다시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안전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안전관리 인력 충원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박 대표는 “일하는 한 달 동안 안전관리 요원 본 적 없다”는 현장 노동자의 증언을 언급했다.

또 다른 유가족 박 씨도 “우리나라의 안전관리인력은 3000명인 데 비해 건설현장은 수도권에만 10만개 정도”라고 주장하며 “정부에서 다시는 이런 사고 일어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개선해 줄 것을 간곡히 호소한다”고 말했다.

대책위는 이번 공사의 시공업체 건우·발주업체 한익스프레스·감리업체 전인씨엠, 3개 업체의 후속 조치도 요구했다. 화재 직후 3개 업체 대표들은 절차를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이후 먼저 만나자는 요구나 연락이 없었다고 대책위는 설명했다. 대책위는 “저희가 (3개 업체에)절대 먼저 요구하지 않겠다. 먼저 연락 올 때까지 기다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가족들은 회견 말미에 참았던 울분을 토해내기도 했다. 유가족 강모 씨는 “발주업체 한익스프레스에 대한 보도가 부족하다”며 한익스프레스에서 보내온 화환을 계단에 내던졌다. 유가족들은 회견 도중 마이크가 끊어지자 “이천시와 언론이 유가족들을 우습게 본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앞서 지난달 29일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소고리의 한익스프레스 물류창고 건설 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현장에서 일하던 노동자 78명 중 38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입었다. 유가족들은 사고 이후 설치된 합동 분향소에서 머무르며 화재 발생 원인, 경위, 대책 등을 논의 중이다.

address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