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암울한 일자리·소득 악화…‘빛’은 안보이고 ‘빚’만 늘어나나
금융위기 이후 최악…외환위기 시절 근접
양극화 심화 부작용…취약계층 붕괴 위험
생계비용 대출 급증…부채 급속히 늘어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소비심리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얼어붙은 가운데 일자리와 가계수입 전망도 큰 폭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부채는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높아지면서 침체 속 소득은 줄고 채무 부담만 크게 증가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가계는 재무건전성 관리에 각별히 주의하고 정부는 취약계층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단 지적이다.

▶“벌이는 더 줄고, 빚은 더 늘 것”=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0년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한 달 전보다 7.6포인트 하락한 70.8을 나타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을 전면에서 맞았던 2008년 12월(67.7) 이후 최저다.

향후 6개월 후 고용사정을 가늠해보는 취업기회전망 CSI(소비자동향지수)는 이달 전월보다 6포인트 감소한 58로 2009년 3월(55)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6개월 후 소득을 예상하는 가계수입전망 CSI는 4포인트 하락한 83으로 집계됐다. 이 역시 2008년 12월(72)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임금수준전망 CSI는 102로 전달보다 7포인트 떨어지면서 2013년 1월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반대로 현재가계부채 및 가계부채전망 CSI는 각각 104와 102로 올랐다. 현재가계부채는 2018년 8월(104) 이후 최고로 높아졌고, 전망도 2018년 11월(102) 이후 최대다. 가계의 고용과 주머니 사정이 어려워지다보니 부채가 상대적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체감 정도를 나타내는 물가인식은 이달 1.8%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향후 1년간 물가 상승률에 대한 전망을 보여주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1.7%로 전달과 같았다.

▶고용·소득 악화, 금융위기 뛰어넘나=고용과 소득 지표는 이미 크게 무너져내린 상태다. 따라서 취어 및 수입·임금 하락에 대한 전망은 이 지표가 추가 악화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지난 23일 발표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분기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6.4% 감소했다. 감소율은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 1분기(-13.8%) 이후 가장 컸다. 소비자들이 외출을 삼가면서 음식·숙박, 오락문화 등 서비스 소비는 물론 승용차, 의류 등 재화 소비까지 모두 줄었다.

3월 취업자수 감소폭도 20만명에 육박하며 금융위기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난 17일 발표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60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9만5000명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폭은 2009년 5월(-24만명) 이후 최대다. 취업자 감소는 2010년 1월 이후 처음이다.

취약 계층이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임시근로자가 42만명 줄며 1998년 12월(-44만7000명) 이래 최대폭 감소를 기록했다. 외환위기 때와 버금가는 수준으로 충격이 미친 셈이다. 일용근로자도 17만3000명 감소했다. 상용근로자는 45만9000명 증가했지만 증가폭은 전월(61만6000명)보다 축소됐다.

▶취약계층 부채 ‘빨간불’=이런 가운데 가계 부채는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사상 최저 기준금리로 이자 부담이 줄어 차입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생계비용 마련 등의 목적으로 대출을 확대하는 사람들도 줄을 잇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910조9000억원으로 1개월 전보다 9조6000억원 늘어났다. 증가 폭은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최대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증가분이 6조3000억원이다. 나머지 3조3000억원은 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 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증가분이다. 기타대출에는 긴급 생활 자금이나 영세 자영업자의 신용대출도 포함돼 있다. 2018년 10월 이후 가장 크게 증가했다.

4월 가계 대출 증가폭이 3월 수준을 뛰어넘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정부가 기업 뿐 아니라 금융기관의 연체율 관리와 가계의 채무상환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경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