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 구하기 너무 어렵다…4월 회사채 발행 급감
2.7조원으로 전년동기의 절반…상환은 4조원
회사채 스프레드 10년7개월만 최대

[헤럴드경제 김유진 기자]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빙하기'에 들어섰다. 이달 들어 기업 회사채 발행 규모는 2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또 4조원 가량은 갚아 상환액이 발행액을 1조3000억원 가량 웃돌았다.

회사채 시장이 얼어 붙으면서 회사채와 국고채의 금리 격차(스프레드)는 10년 7개월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이에 정부가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 데 이어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도 매입하기로 함에 따라 향후 회사채 시장에 온기가 돌 지 주목된다.

2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전날까지 자산유동화증권(ABS) 제외 회사채 발행액은 2조69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1% 줄었다.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도 32.3% 감소한 규모다.

올해 회사채 발행액은 1월 6조8000억원 수준에서 2월 12조3000억원으로 급증했다가 3월 5조1000억원으로 다시 줄어든 바 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월에 기업들이 미리 자금 조달에 나서면서 회사채 발행 규모가 크게 확대됐지만, 이후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우려가 커지며 회사채 발행 시장이 얼어붙었다.

이달 들어 전날까지 회사채 상환액은 3조9338억원으로 발행액을 1조2000억원 넘게 웃돌았다.

지난 2월 회사채 발행액은 상환액보다 6조원 넘게 많았다가 3월에는 격차가 6400억원 수준으로 줄었고 이달 들어서는 역전된 상황이다.

회사채 발행 환경이 악화되면서 회사채와 국고채 간의 신용도 차이를 보여주는 스프레드는 크게 확대됐다.

전날 기업의 신용위험을 보여주는 AA- 등급 무보증 회사채 3년물 금리와 국고채 3년물 금리의 신용 스프레드는 1.157%포인트로 2009년 9월 18일(1.160%포인트) 이후 10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두 채권 간 스프레드는 2월 말까지만 해도 0.603%포인트 수준에 그쳤으나 3월 말 1.007%포인트로 확대된 바 있다.

당분간 회사채 시장을 둘러싼 주변 환경이 그리 녹록하지만은 않아 보인다.

정부가 2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한 데 이어 한국은행이 이달 들어 신용등급 AA- 이상의 우량 회사채를 담보로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에 최대 10조원을 대출하는 금융안정특별대출 제도를 신설했지만, 회사채 금리는 이달 들어서도 계속 상승 중이다.

이에 금융위원회가 잇단 조치에도 불구하고,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와 기업어음(CP)은 여전히 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다며 저신용등급 회사채와 CP까지 매입하겠다고 밝혀 효과가 주목된다.

금융위는 구체적인 매입 기구 구조, 매입 범위 등은 한국은행과 함께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