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식료품 ↑·공산품 ↓…코로나發 디플레 ‘먹구름’
생산자물가 26개월만에 최저치
IMF, 내년까지 0%대 물가 우려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자물가가 국제유가 폭락으로 지난달 2년2개월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런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작년에 이어 내년까지 3년 연속 0%대에 머물 것이란 전망을 내놓으면서 물가 하락이 경기 침체를 동반해 발생되는 디플레이션의 먹구름이 짙게 드리우고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3월 생산자물가지수(2015년=100)’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2.89로 한 달 전보다 0.8% 하락했다. 102.52를 기록했던 2018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달에는 코로나19의 전 세계 확산에 따른 석유수요 감소와 주요 산유국 간 감산협의 결렬 등으로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석탄 및 석유제품 생산자물가를 19.9% 끌어내렸다. 화학제품도 1.2% 내렸다.

이로 인해 전체 공산품 생산자물가는 한 달 전보다 1.4% 하락했다. 석탄 및 석유제품은 3개월 연속 감소했고, 화학제품은 7개월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지난달엔 수출물가도 유가 하락 영향으로 3년 반 만에 최저로 떨어진 바 있다.

IMF는 지난 14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올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사상 최저를 기록했던 작년보다 더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금년과 내년 상승률을 각각 0.27%, 0.45%로 전망하면서 3년 연속 0%대 인플레이션 증가율에 그칠 것으로 봤다.

올 한국의 성장률은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1.2%)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 저물가를 동반한 경기의 급격한 하강을 예고했다.

코로나19 방역에 성공한 나라일수록 불황의 강도가 높을 것이란 연구 결과도 나왔다. 이에 한국이 받게 될 경제적 타격이 확진자가 크게 발생된 나라보다 위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경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