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원전해체연구소 부산-울산, 내년 하반기 착공…총 3223억원 투입
본원 부산-울산·분원 경주 건설…“원전해체산업 경쟁력 확보”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문재인 정부의 에너지전환 핵심 정책 중 하나인 원전해체산업을 육성할 원전해체연구소가 내년 하반기 부산과 울산, 경북 경주에서 착공된다. 연구소 건설에는 총 3223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원전해체연구소 추진 계획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전해체산업의 구심점으로서 영구정지된 원전을 안전하게 해체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베드(시험장)·인력양성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동남권 등 원전 지역 소재 원전기업의 해체산업 참여를 지원할 예정이다.

경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약 7만3000㎡ 규모로, 중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분원은 경주시 나아산업단지에 2만4000㎡ 규모로 건설된다. 국내 원전 30기 가운데 26기가 경수로이고 나머지 4기가 중수로이다.

연구소 사업비는 총 3223억원에 이른다. 한국수력원자력 등 공공기관이 1934억원을 출연해 법인을 설립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1289억원을 투입해 설립 이후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장비 구축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연구소 법인 설립과 건축 설계를 진행해 내년 하반기부터는 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정부는 2017년 6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계기로 원전해체산업 육성과 해체기술 실증을 위한 인프라로써 동남권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후 산업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방안 연구를 거쳐 부지 선정과 재원 분담 방안 협의 등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4월 15일에는 고리 1호기 현장에서 관할 지자체 등과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전 세계적으로 운영 중인 원전 약 450기 중 운영 연수가 30년 이상 된 원전은 67.8%가량인 305기로, 202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경제 컨설팅기업인 베이츠 화이트에 따르면 세계 원전 해체 시장 규모는 549조원으로 추산된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원전해체연구소가 설립되면 국가적 차원의 원전해체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국 기업의 글로벌 해체시장 진출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