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태열 기자의 생생제약바이오]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이희영 회장, "오랜 시간 걸리는 치료제·백신 개발보다 줄기세포이용 치료 가 효과적" 주장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전세계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개발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가운데 “긴급을 요하는 코로나 19에는 치료제나 백신 개발보다는 줄기세포 치료술 적용 필요가 있다”라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코로나19로 손상된 폐를 줄기세포로 치료할 수 있다는 주장이 다. 이희영 대한줄기세포치료학회 회장은 20일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폐가 기능을 못 할 때 줄기세포를 투여하면 상처가 난 자리를 치유하고 원상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줄기세포치료를 코로나19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코로나19 환자에게 사용되는 세포는 최우선적으로 환자 자신의 세포 즉 ‘자가 세포’와 ‘일란성 쌍둥이 세포’가 필요하고,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골수이식 과정에서 이뤄지는 조직 적합성 검사를 통해 일치하는 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라며"자가 세포와 조직 적합성 검사를 통해 일치하는 세포마저도 사용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타인 세포인 ‘동종 세포’를 투여하는 방법을 선택한다."고 주주장했다.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 유래 조직에서 분리한 줄기세포를 즉시 투여하고 동시에 체외에서 최소한의 조작만으로 숫자를 증식해 다시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의료 행위를 말한다.

기자회견에서 줄기세포 치료술에 설명하는 이희영 회장의 모습

이 회장은 “폐가 기능을 못할 때 줄기세포를 투여하면 상처가 난 자리를 치유하고 원상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라며 “줄기세포 치료술은 음압, 개별 관리가 필요한 감염질환에서 자가 세포를 맞춤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줄기세포 치료제와는 다른데 줄기세포가 코로나19 치료 가능성이 높은데도 활용되지 않았던 이유 중 하나는 음압 관리 시설 부족”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변수가 많고 시간도 오래 걸리는 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시간을 쏟는 것보다 줄기세포 치료를 급성호흡부전증 환자에게 적용해야 한다”며 “오는 9월부터 시행되는 첨단재생바이오법의 대통령령에 의료기관 최소 조작 자율 배양을 허용하는 안이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