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조선, 3월 선박수주 中에 1위 내줘
발주량 72만CG…전월 대비 26%↑
중국, 자국 발주 물량이 대부분

[헤럴드경제 천예선 기자] 한국 조선업이 3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에서 중국에 1위를 내줬다. 3월 글로벌 선박 발주량 72만CGT 가운데 대부분이 중국 자국 물량에 집중된 탓이다.

7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3월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72만CGT(21척)로 전월(57만CGT) 대비 26% 증가했다. 이 중 중국이 65만CGT(17척, 90%)를 수주하며 1위, 한국이 3만CGT(1척, 4%)로 2위, 일본이 2만9천CGT(2척, 4%) 3위를 차지했다.

3월 중국 수주 선박 대부분(56만CGT, 88%)은 유조선, 컨테이너선 위주의 자국 발주 물량이었다. 반면 한국 조선소의 주력 건조 선종인 대형 LNG선 발주는 현재까지 발생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절대 발주량이 적어 국가 간 순위는 큰 의미가 없다는 분석이다. 또 카타르, 모잠비크 등 향후 대규모 LNG 프로젝트 발주가 본격화하면 발주량도 급속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국가별 수주량은 중국 65만CGT(17척, 90%), 한국 3만CGT(1척, 4%), 일본 2만9천CGT(2척, 4%) 순이었다. 올해 1분기 국가별 누계 수주는 중국 151만CGT(55척, 65%), 한국 36만CGT(13척, 16%), 일본 18만CGT(12척, 8%)을 기록했다.

선종별로는 S-Max급 유조선과 A-Max급 유조선이 전년 대비 각각 150%, 70% 증가한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 컨테이너선 및 벌크선 발주량은 감소했다. 한국 조선소의 주력 선종인 대형 LNG운반선의 경우 지난해 1분기에는 14척이 발주되었으나 올해는 아직까지 발주가 없는 상태다.

한편 2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과 동일한 129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로는 LNG운반선 , 중대형유조선(S-max, A-max)은 지난달과 동일했지만 대형 컨테이너선, 초대형유조선(VLCC), 벌크선(Capesize)은 소폭 하락했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