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초유의 재난생계지원금] 세계 각국 현금 살포…코로나19發 경제타격 최소화 초점
美 성인 1인당 약 150만 원 현금 지급
마카오·대만, 현금성 바우처 지급
[헤럴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타격이 가시화하면서 세계 각국이 다양한 형태의 현금 살포 방안을 속속 도입하고 있다. 방식과 대상은 제각기 다르지만 코로나19의 경제 영향을 줄이고 소비를 진작하기 위해서라는 취지는 똑같다.

미국 상원은 지난25일(현지시간)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캐어스’(CARES·Coronavirus Aid, Relief, and Economic Security Act)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법안 재정지원 규모는 2조2000억(약 2684조원) 달러에 달한다. 소득에 따라 최대 1200달러를 주는 현금 지급 프로그램에 2900억 달러, 소상공인 신규 대출 지원에 3490억 달러, 기업 대출 및 대출 보증에 5000억 달러 등이 투입된다.

소득에 따라 최대 1200달러를 주는 현금 지급 프로그램에 따르면 연 소득 7만5000달러(한화 9150만원가량) 이하 성인은 1200달러(한화 150만원가량)의 현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연 소득 7만5000달러이하는 1200달러를, 7만5000 달러~ 9만9000달러(한화 9150만원~1억2000만원가량)는 1200달러에서 100달러당 5달러씩 줄어든 금액을 각각 지급한다. 연 소득이 9만9000 달러 이상은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17살 미만은 1인당 500달러(한화 61만원가량) 지급된다.

일본은 다음달 56조엔 규모의 코로나19 대응 경제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여기에는 취약가구에 20만∼30만엔의 현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담긴다. 일본은 2009년 금융위기 때 1인당 1만2000엔(한화 14만원가량)의 현금을 지원했다.

규모나 시기 면에서 가장 선봉에 선 국가는 홍콩이다. 홍콩 정부는 지난달 26일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만7년 이상 거주한 18세 이상 모든 영주권자에 1만홍콩달러(약 157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수혜 대상자는 약 700만명이며, 총 소요 예산 규모는 710억 홍콩달러(약 11조1000억원)다.

마카오와 대만은 현금이 아닌 현금성 바우처로 지급한다. 마카오는 지난달 13일 코로나19로 시민과 기업이 당면한 경제적 압력을 덜겠다며 전자 바우처 지급 방안을 제시했다. 마카오 당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완화되는 시점에 3000파타카(약 46만원) 상당의 전자 바우처를 모든 주민에게 배부키로 했다. 바우처는 3개월간 유효하며 특정 식당과 소매점, 쇼핑센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대만은 지난달 27일 600억 대만 달러(약 2조4000억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확정하면서, 피해 업종·직원에 대한 바우처 지원에 404억 대만달러를 배분했다.

싱가포르는 21세 이상 모든 시민권자에게 소득과 재산에 따라 최고 300 싱가포르 달러(약 26만원)를 현금 지원하기로 했다. 20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100 싱가포르 달러를 추가 지원한다. 저소득 근로자 지원제도 대상자, 50세 이상 국민 등에도 현금이나 바우처를 제공한다.

호주는 650만명의 연금·실업급여 수급자에게 1인당 750호주달러(약 58만원)의 일회성 현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