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증시안정펀드·채권담보부증권…금융위, 컨틴전시 플랜 검토중
기재부 “적시에 시장안정조치”

증시 폭락이 이어지면서 이미 시행중인 한시적 공매도 조치 외에 채권시장안정펀드, 채권담보부증권(P-CBO), 금융안정기금 등의 추가 시장안정대책이 검토되고 있다. 최악의 경우엔 증시 개장 시간과 주가 등락 폭을 단축하는 방안까지 금융당국이 고심하고 있다.

금융위는 16일부터 6개월 동안 공매도가 금지됐어도 국내외 주가 폭락 사태가 이어지자 17일 내부 대책회의를 열어 즉시 시행 가능한 시장안정 방안을 점검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이날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른 시장안정조치와 증시수급 안정화 방안이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요청했다.

우선 증시안정 펀드가 도입 대상으로 거론된다. 금융위는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공매도 금지 조치 이후 증시안정 펀드 조성에 나선 바 있다. 증시안정 펀드는 증권 유관기관들이 자금을 출연해 펀드를 만들고 이를 통해 증시 안정에 기여할 목적으로 조성됐다.

이와 함께 2008년 10월 장기주식형펀드에 3년 이상 가입한 투자자에게 연간 납입액 1200만원까지 소득공제와 배당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주는 방안도 실행했다.

한편 이날 금융당국에 따르면 증시 폭락 사태가 멈추지 않으면 오전 9시~오후 3시 30분인 주식시장 운영 시간을 단축하고 주가 하루 등락 폭을 기존의 ±30%에서 축소하는 방안까지 비상계획(컨틴전시 플랜)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 관계자는 “(증시 안정을 위한 방안을) 다양하게 준비하고 있다”며 “컨틴전시 플랜에 증시 개장 시간 단축이나 가격제한폭 단축 등도 포함돼 있지만, 이는 극단적인 상황을 가정한 것이고 아직 그럴 단계까지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증시안정 펀드와 비과세 장기주식 펀드도 다 컨틴전시 플랜에 포함돼 검토하고 있다”며 “다만 그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기획재정부도 적극 대응에 나섰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적시에 시장안정조치를 신속하고 단호하게 시행하는 한편, 신용경색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이태형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