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스터 소수의견’ 조희대 대법관 퇴임
조희대 대법관. [연합]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주요 사건에서 소수의견을 개진하며 ‘원칙론자’로 꼽혔던 조희대(63·사법연수원 13기·사진) 대법관이 3일 임기만료로 퇴임했다.

대법원은 이날 간략하게 퇴임식을 열 예정이었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사태 여파를 고려해 별도의 행사를 열지 않겠다는 조 대법관의 의사에 따라 취소했다.

조 대법관 후임으로 4일 취임하는 노태악(58·16기) 대법관 역시 취임식을 생략하고 바로 업무를 시작하기로 했다.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지명한 조 대법관이 퇴임하면서 현 김명수 대법원장이 지명한 대법관 수는 7명으로 늘어나 13명으로 구성되는 전원합의체 과반을 넘어섰다.

조 대법관은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에서 청와대가 특검에 제출한 증거가 위법하게 수집됐다며 무죄 취지의 소수의견을 냈다.

이밖에 양심적 병역거부 사건에서도 “병역거부와 관련된 진정한 양심의 존재를 심사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했고, 다큐멘터리 ‘백년전쟁’에 대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재조치가 부당하다는 판결에서도 “검증되지 않은 사료로 사실을 왜곡했다”는 반대의견을 제시했다. 한 부장판사는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지만, 법 문언의 의미를 중시한 원칙론자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조 대법관은 대기업 사건 상고심과도 인연이 깊다. 전원합의체에 회부된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이른바 ‘땅콩회항’ 사건, 국정농단 사태 때 뇌물을 건넨 혐의의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 사건의 주심을 맡았다. 대구 법원장 재직 시절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판결문을 작성하자’는 연구사업을 펼치기도 했다.

좌영길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