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주민 불편 덜자” 부산 기장군 이어 연제·동래·수영구도 무상직배 추진
3시간 줄서 5매 구입, 도시서 원정 구매도 기승
기장군 이어 연제구·동래구·수영구도 무료배부
오거돈 부산시장이 코로나19 관련 마스크 비상수급 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정부가 마스크 공적 공급에 나섰지만, 곳곳에서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마스크를 구하기 어려운 농어촌 지역에서 우체국을 통해 판매에 나섰지만, 정작 원정까지 나선 도시민들 탓에 지역 주민들은 마스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가 된 현실이다. 이에따라 정부의 마스크 공급 방식에 문제를 제기한 일부 자치단체는 마스크 무상배부에 나서고 있다.

3일 부산 기장군에 따르면 군은 전날 예비비 54억원을 긴급 투입해 마스크 105만장 구매하고, 우선 확보된 물량부터 지역 내 7만여 가구에 무상으로 나눠주고 있다. 특히 기장군은 마스크를 사기 위해 주민들이 줄을 서는 것을 막기 위해 아파트는 관리사무소로 배송하고, 통반장이 각 집을 다니며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기장군의 신영화(48) 씨는 “마스크 구입을 위해 외지인들이 일찍부터 길게 줄을 서고, 신분증 확인도 없이 판매에 나서 정작 지역주민들은 단 한명도 구입하지 못했다”면서 “다행히 군에서 마스크를 직접 배송한다해서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 연제구와 동래구, 수영구 등도 기장군을 벤치마킹해 무상배부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다. 연제구는 우선 9일부터 지역 주민 21만명을 대상으로 1인당 5장의 마스크를 무료로 배부하기로 했다. 우선 긴급 확보한 30만장은 감염 취약계층인 6∼13세 아동과 65세 노인 5만여명을 대상으로 우선 직배하기로 했다. 이후 재난관리기금을 추가로 투입, 16만여명의 주민에게 줄 마스크 70만장을 구입할 예정이다.

동래구는 10만장을 우선 65세 이상 고령층에 직배하기로 했다. 수영구는 5만장을 긴급 구매해 기초생활수급자, 한부모 가정에 우선 지급한다. 하지만 이들 자치구들은 추가로 마스크 구매가 쉽지 않아 전체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계획은 세우지 못하고 있어 정부차원의 지원을 기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장군에서 시작된 기초단체의 정책에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선 ‘세금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 같다’ ‘전국으로 확산됐으면 좋겠다’며 뜨거운 반응이 잇따르고 있다. 부산참여연대도 “국민 간 정보 부족과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해 마스크 구매에 있어 차별과 배제가 발생해 마스크 무상 공급이 절실하다”며 부산시가 마스크를 무상으로 공급하라고 주장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