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화학·자동차·반도체를 주목하라"…삼성증권
가격 매력 상대적 상승
코스피 PBR 0.78배…역사적 저점

[헤럴드경제 김성미 기자] 가격 매력이 높아진 '화학·자동차·반도체 업종'에 주목하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삼성증권은 2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코스피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에 근접해 지금은 매도로 대응할 실익이 크지 않은 만큼 가격 매력이 높아진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며 '화학·자동차·반도체 업종'을 추천했다.

문동열 연구원은 "지난주 국내 증시 단기 낙폭이 예상보다 컸고 코스피가 2000선 아래로 내려가 12개월 예상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78배로 글로벌 금융위기 및 지난해 8월 저점 수준에 근접했다"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변동성이 글로벌 증시 대비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매도로 대응할 실익은 크지 않고 가격 매력이 높아진 업종 종목에 대한 정리가 필요한 타이밍"이라며 "중장기 세계 거시경제 회복 사이클에 대한 시각이 유효하고 주식시장 관심이 시장충격에서 정책 대응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문 연구원은 "가격 매력 확대를 기준으로 한 최선호 업종은 화학, 자동차, 반도체, IT하드웨어"라며 "이들 업종은 올해 고점 대비 낙폭이 15~20%에 육박하지만 실적 전망은 하향조정되지 않아 여전히 올해 30% 이상의 주당순이익(EPS) 성장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종목별로는 화학 업종의 경우 에코프로비엠, SKC코오롱PI, SK케미칼의 가격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고 봤고 자동차 업종에서는 현대차, S&T모티브를, 반도체 업종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원익IPS, 테스, 해성디에스를, IT하드웨어 업종에서는 삼성전기, LG이노텍, 에스에프에이 등을 각각 제시했다.

문 연구원은 "이들은 단기적으로 실물경제 수요 둔화가 나타날 경우 일정 부분 타격이 불가피하겠지만 우려 대비 주가 조정 폭이 과도하다"며 "시장의 관심이 정책 대응으로 이동하는 단계에서 글로벌 대비, 또 타업종 대비 탄력적으로 주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miii0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