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생명·삼성화재, 예상 넘는 실적부진도 ‘도긴개긴’
순이익 41.3%·42.2% 각각 감소
손해율 상승…운용수익도 하락
배당 성향은 높여 주주 ‘달래기’
자료:유안타증권

삼성그룹 계열 삼성생명과 삼성화재가 모두 지난해 ‘어닝 쇼크’ 수준의 실적을 내놨다. 지난해 삼성전자 지분매각 효과까지 따지면 삼성생명이 더 나은 듯 보이지만, 삼성화재가 아직 ‘비장의 카드’를 쓰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도긴개긴’이다. 두 회사 모두 배당성향을 높여 주주 달라기에 나섰다. 순이익과 시가총액에서 동생이 형을 꺾는 삼성화재의 삼성생명 추월도 당분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20일 삼성생명 연간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순이익은 9774억원으로 전년(1조6644억 원)보다 41.3%(6870억 원) 감소했다. 전년도에 있었던 삼성전자 주식 매각에 따른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더라도 순이익이 20% 가량 감소한 수치다.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오르고 금리 하락에 따른 이차역마진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그나마 고마진 상품 비중이 늘어나면서 신계약가치는 1조3616억원으로 전년(1조1014억 원) 대비 23.6%(2602억 원)증가했다. 신계약가치는 보험의 질적 지표에 해당한다. 이 기간 삼성생명의 신계약 중 보장성 보험의 비중은 66%에서 74%로 높아졌고, 보장성 연납화보험료(APE)는 1조9040억원으로 9.3%(1620억 원) 증가했다. 전년도엔 신계약 APE가 2조6490원에서 2조5740억 원으로 2.8% 감소했었다.

삼성화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6092억원으로 전년대비 무려 42.4% 급감했다. 4분기 순이익은 2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9% 급감했다. 매출(원수보험료)이 18조8393억원으로 전년보다 3.3% 늘었지만, 받은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 비율인 손해율과 합산비율(손해율+사업비율)이 높아졌다. 보험영업효율을 판단하는 합산비율은 전년보다 2.5%포인트 상승한 106%였다.

삼성화재의 부진은 고질적인 자동차보험과 실손의료보험 손해율 때문이다. 4분기에 중동 지역 홍수 관련 비용이 370억원 발생하면서 일반보험 손해율마저 떨어졌다. 그나마 삼성화재는 올해 손보사 중 가장 가파른 이익 반등폭을 시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희라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