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시아 제1의 창업도시 ‘부산형 창업혁신도시 조성계획’ 발표
부산시, 올해 창업생태계 조성에 국·시비 등 2056억원 투자
전국 최초 창업촉진지구 지정, 산업별 특화 6개 지구 2833만㎡
부산 창업촉진지구 지정 현황(부산시 제공)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부산시(시장 오거돈)가 ‘2020년 부산형 창업혁신도시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부산시는 ‘아시아 제1의 창업혁신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부산형 창업 혁신도시 조성을 위해 총 2056억원(국비 827억원, 시비 386억원, 민자 843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부산시의 중점 추진전략으로는 거점별 창업인프라 확대(HW/SW), 유니콘기업 배출을 위한 프로그램 고도화, 데스밸리 극복을 위한 자금지원 생태계 구축, 글로벌 창업문화 확산과 글로벌 창업도시 도약 등이다.

먼저, 지난해 12월 지정된 ‘부산창업촉진지구’(6개 지구 2833만㎡) 집적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 정부사업 연계 신규 창업인프라 확충, 민간주도·공공지원 신규 창업인프라 구축을 통해 거점별 신규 창업인프라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이외에도 창업 컨트롤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2019년 동남지방통계청과의 협업으로 전국 최초로 개발한 ‘부산창업동향통계’의 국가통계 승인도 상반기 중 추진한다. 부산창업지원센터·창업보육센터·재창업성공 캠프 지원, 기술사업화 지원, 창업기업 판로개척 다각화 지원, 유니콘 기업 성장을 위한 대표창업기업 지원·청년창업 맞춤형 지원 등 스타트업의 고속성장 프로그램 고도화도 추진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게임·콘텐츠·가상현실(VR)/증강현실(AR)·블록체인 등 4차산업 대응 지식서비스 산업과 전자상거래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중기부 메이커 스페이스 전문랩 유치 등을 통한 부산형 메이커산업 육성, 해양·관광·연구개발(R&D)·소셜벤처·신발 산업 등 지역특화 산업 창업을 위해 시의 지원 역량을 집중한다.

창업기업의 데스밸리 극복을 위한 자금지원 생태계 구축을 위해, 성장단계별 맞춤형 창업펀드를 4300억원 규모로 확대해 자금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자금생태계 인프라 확충을 위해 BIFC 입주 금융·공공기관이 참여하는 ‘민관합동 코워킹스페이스’와 D.CAMP(은행권청년창업재단)의 부산 유치도 추진한다.글로벌 창업인재 파이프 라인 구축 · 창업문화확산을 통한 도시성장기반 마련을 위해 연간 2만1000여명의 소프트웨어(SW) 창의 인재양성에 나서며, 글로벌 혁신창업 미래 인재 유치·양성(Inbound 창업지원, 정주여건 개선, 청소년 비즈쿨), BSW Bounce 2020 부산스타트업 위크 행사 활성화 등을 추진하며, 부산을 글로벌 창업도시로 브랜드화하고, 구·군 창업지원 시책사업 확산 등을 통해 홍보도 강화할 예정이다.

오거돈 시장은 “좋은 마음의 힘과 창조성, 사람 사이의 협동에서 가치가 생성되고, 창업은 이러한 가치 추구를 위한 열정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면서 “부산시는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창업기업을 위해 시의 역량을 모아서 최선을 다해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