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통시장-주거지 연계 도시재생 3곳에 100억 원 안팎 씩 지원
장위전통시장, 용답상가시장, 화곡중앙골목시장 등
장위전통시장 현황.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서울 성북구 장위전통시장, 성동구 용답상가시장, 강서구 화곡중앙골목시장 등 3곳이 서울시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지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2023년까지 이 들 3곳에 각 100억 원 안팎을 투입, 배후 저층 주거지와 연계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예전엔 지역 중심이었지만 대형 마트 등에 밀려 지역 낙후의 상징이 되다시피 한 재래시장일대를 재생시켜 다시 지역 거점으로 재탄생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재생 사업의 모든 과정이 지역 주체의 참여와 주도로 진행된다. 시장상인과 지역주민으로 구성된 주민협의체 의견을 모아 복지시설, 도로, 담장, 주차장 등 인프라(SOC) 확충과 물리적 환경 개선에 나선다.

앞서 시가 지난해 5월 자치구 공모한 결과, 이번에 선정된 3곳 외에 강북구 장미원, 마포구 동진, 중랑구 사가정이 후보지(희망지 사업)에 들었다. 시는 약 6개월 간 이들 6곳에서 지역주민과 상인 역량을 강화하는 지원을 했다. 이후 평가위원회 현장실사와 심층평가를 거쳐 시범사업지 3곳을 최종으로 가렸다. 평가는 자치구가 제출한 ‘희망지사업 성과 및 기본구상 제안서’를 바탕으로 주민·상인 역량과 참여도, 기본구상 실천전략과 사업구상 등의 정성평가,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따른 동별 쇠퇴지수 등 정량적 요소를 모두 고려했다.

시는지역 여건에 맞처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이 조성한다는 목표다.

장위전통시장(성북구 장위동 66번지 일대)은 지하철6호선 돌곶이역 인근에 위치해 있고 주변에 노후 저층주거지와 단독주택이 많다. 시장 북측이 재개발구역(장위 10구역)에 포함돼 있고, 장위11구역은 해제구역으로서 주택 개량 수요가 높다.

용답푸르미르상가시장(성동구 용답동 용답상가시장 일대)은 180개 점포와 노점으로 이뤄진 대규모 상설 골목시장이다. 골목이 넓고 지하철역(답십리역, 용답역)이 가까워 접근성이 좋지만 시설이 낙후해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있다.

화곡중앙골목시장(강서구 월정로30길 63 일대)은 도로가 협소한 주택밀집 지역으로 주차문제 해결이 시급하고, 시장 근처에 있던 주민센터가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서 마을 기능이 쇠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젊은 부부의 유입으로 어린 자녀를 둔 가족 비율이 높아지면서 시장이 아이들의 통학로이자 직장인의 출퇴근길로도 쓰이고 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전통시장과 연계한 도시재생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시범 사업”이라며 “시장 상인과 지역주민이 스스로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