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SS 조사위 “추가화재 원인 ‘배터리 이상’”…업계 타격 불가피
5건 화재 중 4건에서 배터리 결함 추정…1곳은 외부요인
충전율 제한 의무화 등 추가 대책…배터리업계 타격 불가피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발생한 4건의 화재 원인이 배터리 이상이라는 조사위의 결론이 나왔다. 나머지 1건인 경남 하동의 경우, 노출된 가압 충전부에 외부 이물이 접촉해 화재가 발생했다는 추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6월 ESS 화재 조사 결과와 안전대책 발표 당시 배터리 자체보다는 외부요인에 화재 원인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추가 화재가 발생하면서 원인이 배터리 이상인 것으로 드러나 배터리 업계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ESS 화재사고 조사단(단장 김재철 숭실대 교수·문이연 한국전기안전공사 이사)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화재사고를 조사한 결과 개별 사업장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배터리 이상이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ESS는 불이 나면 전소되는 특성상 발화지점 배터리가 소실돼 원인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종합적인 조사와 분석을 근거로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고 조사단은 설명했다.

개별 사업장별로 보면 충남 예산은 운영 기록을 토대로 배터리가 발화지점인 것으로 분석됐고 현장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내부 발화 시 나타나는 용융(물질이 가열돼 액체로 변하는 현상) 흔적을 확인했다.

같은 시기 같은 모델을 설치한 인근 ESS 사업장에서 비슷한 운영기록을 보인 배터리를 수거해 해체·분석해보니 일부 파편이 양극판에 붙어 있고 배터리 분리막에서 리튬-석출물(절연유가 방전 현상 또는 화학 변화로 인해 사용 중에 점차 변질하여 생성되는 것)이 형성된 것을 확인했다.

강원 평창도 운영기록을 통해 배터리가 발화지점으로 분석됐고 과거 운영기록에서 충전 시 상한전압과 방전 시 하한전압의 범위를 넘는 충·방전 현상을 발견했다. 이때 배터리 보호 기능도 동작하지 않았다. 유사한 ESS 사업장에서 배터리를 수거해 해체·분석한 결과에서는 양극판 내부손상이 확인됐고 분리막에서 구리 성분이 검출됐다.

경북 군위는 폐쇄회로(CC)TV와 운영기록에서 배터리가 발화지점임을 확인했고 현장 조사에서 수거한 배터리에서 용융 흔적을 발견했다. 사고 사업장에서 전소되지 않고 남은 배터리 중 유사한 운영기록을 보인 배터리를 해체·분석한 결과 음극활물질에 돌기가 나 있었다.

경남 김해는 CCTV상 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한 점과 시스템 운영기록(EMS)을 미뤄봐 배터리가 발화지점이라고 판단했다. 또 그간의 운영기록을 보면 6개월 동안 화재가 발생한 지점의 배터리 간 전압 편차가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조사단은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네 군데 사업장의 경우 배터리 결함이 화재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했다. 다만 경남 하동은 노출된 가압 충전부에 외부 이물질이 닿으면서 화재가 발생했다고 추정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