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리 인하론 ‘솔솔’…‘안전자산 갈아타기’ 채권시장은 파란불
변동성 커진 주식시장 대안으로 부상
기준금리 인하·바이백 추진으로 수급 호재 예상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세계 증시가 요동치면서 채권 등 안전자산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월 국내 채권시장은 강세가 예상된다.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미국 국채 금리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파장에 따라 하락 압력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의 장기화 여부다.

과거 전염질병의 파급기간을 고려할 때 최소 3개월 정도는 시장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민간소비 위축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행은 앞선 2003년 사스(SARS)나 2015년 메르스(MERS) 발생 당시 선제적 금리 인하 정책을 단행한 바 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아니더라도 금통위 내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요구가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대비 기저효과로 인해 경기 개선 기대감은 존재하지만 저물가, 마이너스 아웃풋 갭(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의 차이) 등 구조적 저성장 요인에 대한 부담이 작용하고 있어서다.

김명실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정책적 변화에 더해) 중국발 바이러스 공포가 아시아 지역 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 직접적 충격을 줄 수 있다는 투자자들의 우려가 투자자금을 안전자산인 채권 쪽으로 돌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공급 측면에서는 기획재정부가 올해 상반기 재정 조기집행에 따른 원활한 적자국채 발행을 위해 하반기 중 국고채 바이백(조기상환)을 집중추진한다고 지난달 밝힌 바 있다.

기재부는 국고채 만기도래액이 특정 기간에 집중됨으로써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만기분산책으로 바이백을 운용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2021년 6월에 총 23조3000억원 규모의 만기도래액이 몰려 있어 기재부가 늦어도 올 7월에는 바이백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며 “바이백 물량이 확대되면 수급상 우호적인 재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