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한 폐렴 초비상] ‘경기 모멘텀’ 중대 차질…재정효과 감퇴에 폐렴 사태로 마이너스 가능성도
경기반등엔 연초 경제심리 중요…연초부터 악재 겹쳐
‘우한 폐렴’ 경제 충격 최소한 1분기 내내 지속 가능성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정부가 ‘경기반등 모멘텀’을 마련하는 데 올해 경제정책의 최우선 목표를 두고 있으나 연초부터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사태가 발생하는 등 악재가 겹치면서 정책적 전략에 중대한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연말 무리한 재정투입을 통한 ‘2% 성장 사수’의 후유증으로 올 1분기 재정효과가 감퇴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우한 폐렴 사태가 최소한 1분기 내내 우리경제를 압박할 것으로 보여 올 1분기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30일 기획재정부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 관련기관에 따르면 발원지인 중국 내 감염자가 지난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당시 수준을 웃도는 등 감염 확산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중국 등 세계경제 및 우리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당초 예상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의 중국내 확산이 2003년 사스 당시 수준을 넘어선 가운데 28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의 우한대학 부속 중난병원에서 보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연합]

KIEP에 따르면 사스의 경우 중국에서 2002년 11월 1일부터 이듬해인 2003년 7월 14일까지 약 9개월 보름 동안 5327명이 감염돼 이 중 348명이 사망했다. 홍콩·마카오·대만까지 포함하면 7754명이 감염돼 9.41%인 730명이 사망했다. 전반적으로 전염병 우려가 6개월 이상 지속됐던 셈이다.

이로 인한 경제적 파장은 시차를 두고 관련국에 몰아쳤다. 홍콩과 중국 등 중화권 경제는 2003년 초부터 급격히 위축됐고, 우리나라 수출은 3월부터 둔화되기 시작해 5월에 충격이 가장 컸다. 이전에 20%를 웃돌던 대중 수출증가율은 2003년 5월 16.1%로 둔화됐고, 5월에는 증가율이 3.5%에 머물렀다. 하지만 사스 불안에서 벗어나면서 1~2개월 사이에 20%대 증가율을 빠르게 회복했다.

2015년 우리나라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의 경우 5월 20일 첫 감염자가 발생해 같은해 11월 25일 마지막 확진자가 발생하기까지 약 6개월 동안 지속됐다. 이로 인해 그해 봄~여름 철 각 지역 축제와 대규모 행사 등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우리경제가 타격을 받았다.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우한 폐렴은 확산 속도가 이전보다 훨씬 빠른 모습이다. 현재의 속도로 볼때 2월말~3월초에 피크에 달할 가능성이 높고, 바이러스 확산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때문에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한 1분기 내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중화권 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던 2003년에 비해 교역규모가 늘어나는 등 경제관계가 밀접해져 실제 영향도 확대될 수 있다. 정부도 실물경제 영향을 좀더 지켜봐야 한다면서도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확산 정도와 중국 등 글로벌 경제영향에 따라 부정적 영향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 시나리오별 대응조치를 검토하고 있다.

게다가 올 1분기에는 작년 4분기의 과도한 재정집행에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재정효과가 감퇴할 수밖에 없다. 이들이 겹칠 경우 1분기 성장률이 급락하거나 지난해 1분기(전분기 대비 -0.4%)와 같이 마이너스로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올해 경기회복의 모멘텀을 마련하기 위해선 연초 경제심리가 중요한데, 우한 폐렴에 대한 불안심리와 공포가 지속될 경우 경제위축이 불가피해 보인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