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허리띠 조여도 하위 16%는 적자살림
월소득 100만원 이하…지출은 109.7만원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가구의 소득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지면서 최저소득층은 꼭 써야되는 돈 만큼도 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지출을 줄여도 적자살림을 면치 못하며 빚만 쌓이고 있다.

통계청의 2018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작년 우리나라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 규모는 253만8000원으로 전년보다 0.8% 감소했다.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2.2% 줄었다.

이는 가계지출에서 소득세와 같은 세금,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이자비용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액수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전체 가구 중 30%는 월 소득이 200만원 미만이었다.

전체 가구 중 16.6%를 차지하는 월소득 100만원 미만 최하위 가구는 지난해 월 109만7000원을 지출해 쓴 돈이 소득을 초과했다.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지출비중은 식료품·비주류 음료(21.1%), 주거·수도·광열(21.0%), 보건(10.5%) 순이었다.

월소득 100만∼200만원인 차하위 가계는 전체의 13.8%를 차지했다. 이들 가계는 식료품(17.8%), 주거·수도·광열(17.3%), 음식·숙박(12.4%) 순으로 지출비중이 높았다.

반면,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의 지출비중은 교통(16.0%), 음식·숙박(13.6%), 식료품(12.1%) 순이었다. 이들 가구는 전체의 13.1%를 차지했다.

가구별 소득(2017년 경상소득 기준)에 따라 소비지출 규모는 극과 극이었다.

소득 하위 20%(1분위)는 지난 2018년 기준 월평균 115만7000원을 소비한 반면, 소득 상위 20%(5분위)는 월평균 428만3000원을 소비해 이 두 계층의 소비차는 3.7배로 벌어졌다.

1분위 소비지출은 전년보다 0.9% 늘어난 반면 5분위 소비지출은 1.1% 줄어 소비지출 격차가 다소 줄어들었지만 양극화는 여전했다.

1분위는 주거·수도·광열에 월평균 23만6400원을 썼고 식료품·비주류 음료에는 23만5700원, 음식·숙박에 12만4800원, 보건에 11만9700원을 썼다. 5분위는 교통에 67만1100원, 음식·숙박에 58만9500원, 식료품·비주류 음료에 53만원을 각각 지출했다. 서경원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