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등 효율성 논란 지켜볼 과제

젊은인력 투입 광주형 일자리는 긍정적

[피플&스토리] “우리가 선두에 선 수소차, 잘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정만기(왼쪽) KAMA 회장이 지난 10일 베를린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사무소를 방문해 버나드 매츠(오른쪽) VDA 회장과 양국 자동차 업계 간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KAMA 제공]

“글로벌 경쟁 심화로 선진국 자동차 기업들의 노조는 일자리 유지를 최우선으로 설정했다. 본국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중장기 일자리 확보를 위해서라도 국내 완성차 노조는 외국 사례를 참고해 노사관계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이하 KAMA) 회장은 협력적인 노사관계의 출발점이 인식의 변화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금 안정과 생산 효율성을 위해 노조가 경영층과 인식을 같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노조 리스크’로 국내 업계의 연간 생산량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400만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KAMA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지난달까지 361만37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감소했다. 두 번의 부분파업 이후 지난 20일 교섭을 재개한 기아차 노조는 24일 다시 부분파업을 재개했다. 르노삼성차 노조도 연말까지 부분파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한국지엠(GM)은 노조가 비정규직의 대량 해고에 반발하며 파업 대응을 밝히자 사측이 임시 휴업으로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정 회장은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밖으로 시야를 더 넓혀야 한다고 조언했다. 성공사례를 국내 기업 환경에서 바라보지 말고 글로벌 업계의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전 세계 자동차 산업은 1억대 시장 두고 15개의 글로벌 기업이 경쟁하는 구도”라며 “해외 스타트업과의 협력 관계 구축부터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세제 지원들이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지를 먼저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에서 판매를 시작한 중국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지급은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의 자국 기업을 향한 보호정책이 결국 경쟁력을 상실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회장은 “상호주의를 고려하면 중국의 편협한 결정에 우리도 (지원금을) 주지 않아야겠지만, WTO에 가입한 자유무역 국가에선 쉽지 않은 일”이라며 “다만 환경친화적인 기준을 따져 보조금을 차등 지급한다면, 일부 중국 전기차들이 혜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피플&스토리] “우리가 선두에 선 수소차, 잘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정만기 회장이 취임한 1년,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자동차 산업 발전포럼을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월 열린 제3회 발전포럼 지정토론 모습. [KAMA 제공]

광주형 일자리의 장기 생존 여부에 대해선 기술 혁신 능력이 좌우할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정 회장은 “고령화 문제는 국내 완성차 업계의 성장을 가로막은 요인으로, 인건비가 높아질수록 수익이 낮아지는 구조적 한계가 여전하다”면서 “따라서 젊은 인력이 대거 투입되는 광주형 일자리는 생산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경차·소형차 생산에 따른 적자가 지속하지 않도록 기업이 판매망 확보와 인력 관리를 지속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첨언했다.

마지막으로 정부가 추진하는 ‘수소 로드맵’이 향후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이끌 것으로 보냐는 질문엔 열린 시각으로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소차나 전기차 등 효율성 측면에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 지금 우리가 어디로 갈지를 정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이어 “각국 정부나 협회 역시 기술과 관련된 입장을 중립에서 개방적으로 바뀌는 추세”라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언제든 뛰어들 수 있는 만큼 수소차 부문에서 우리가 선두에 섰으니 잘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정찬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