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文-아베 15개월 만에 정상회담…개최 자체가 큰 의미”
“냉각된 한일 관계 속 대화 모멘텀 유지 기대”
수출 규제 해결 질문에는 “논의 속도 빨라졌으면”
시진핑 中 주석과는 한반도 평화 공동 협력 논의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이 20일 청와대에서 한·일·중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크리스마스이브인 오는 2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15개월 만의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오는 23일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열리는 ‘제8차 한일중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문 대통령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대화 모멘텀 유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20일 오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문 대통령은 오는 24일 오후 청두에서 양자 회담을 갖고 양국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5개월 만에 개최되는 양자회담”이라고 이번 회담 성사의 의미를 강조한 김 차장은 “그간 양국 관계의 어려움에 비추어 개최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간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하고, 한일관계 개선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그간 한일 양국은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협상을 계속해왔다. 양국 정상은 최근 미국 뉴욕과 태국에서 잇따라 짧은 환담을 가졌지만, 정식 정상회담은 냉각된 양국 관계를 이유로 좀처럼 성사되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회담에서 수출 규제 완화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느냐’는 물음에 “수출 규제 문제에 대해 실무급 회의를 계속하고 있다”며 “대화가 진전되고 있지만, 논의의 폭이 넓어지고 속도가 빨라졌으면 하는 기대는 있다”고 답했다. 다만,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공 배상 판결 문제가 함께 거론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예단할 수 없지만, 준비는 하고 있다”고 했다.

또 최근 국회에 발의된 이른바 ‘문희상 안’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대법원의 판결을 존중해야 한다는 기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며 “피해자들이 배상 안에 동의하지 않고 사법절차 진행을 요구할 경우,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이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오는 23일 베이징(北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도 정상회담과 오찬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회담에서는 연말을 앞두고 무력 도발 조짐을 보이고 있는 북한과 관련해 공동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으로, 청와대는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에 대해 설명하고, 중국과 일본 양국의 건설적인 기여도 당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