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구신세계 오픈 3년 ‘대구 소비지형 변화 주도’
대구은행 BC카드 실적 분석 결과, 동대구역 주변 상권 사용액 신장 1위
대구신세계백화점 전경.[대구신세계 제공]

[헤럴드경제(대구)=김병진 기자]민자 복합환승센터 개발 첫 사례로 안착한 ‘대구신세계’가 오픈 3년만에 대구 소비지도를 새로 그렸다.

10일 대구신세계에 다르면 오픈 1년만에 대구시 백화점 전체 1위 매출을 기록하고 2년만에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하는 등 지역 대표 백화점으로 도약했다.

지난 2016년 12월 대구신세계가 문을 열기 전까지 대구 상권의 중심은 반월당역과 중앙로역이 자리한 동성로 주변에 집중됐다.

대구신세계가 자리잡은 동구는 과거 상대적으로 낙후됐던 지역이었지만 오픈 3년만에 대구시를 대표하는 상권으로 변모했다.

실제로 대구은행의 신용카드 사용실적 데이터에 의하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대구은행 BC카드 결제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동대구역(7.3%)이다.

또 도시철도 동대구역 이용객(하차)은 2016~2018년 사이에 32.5%나 늘었으며 이는 최근 새롭게 개통된 설화명곡역과 화원역을 제외하면 가장 큰 증가세다.

특히 동대구역 상권은 젊은 세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20.6%)와 30대(25.0%), 40대(21.5%)가 카드 소비의 대부분을 차지해 젊은 층 중심으로 동대구역 주변상권에 유입되고 있다.

동대구역 주변에는 서양음식, 미용원, 제과점, 레저업(요가, 필라테스) 등 젊은 층이 선호하는 자영업이 많이 생겨나고 카드결제 금액도 크게 늘었다.

대구신세계가 올해 10월까지 지역별 방문객을 파악, 방문객의 절반 이상(57.3%)이 외지인으로 집계됐다.

대구신세계는 지역 상권 판도를 바꾼 가장 큰 이유로 교통 장점과 함께 대구신세계만의 압도적인 하드웨어를 가득 채운 가족 엔터테인먼트 시설, 세계 각국의 먹거리 등 강력한 컨텐츠를 들었다.

아쿠아리움을 시작으로 옥외 테마파크 주라지, 스포츠 테마파크 트램폴린 파크, 1930년대 상하이의 옛 골목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한 맛집 거리 루앙스트리트 등 다양한 콘텐츠를 모두 갖추고 있다.

대구신세계는 오픈 3주년을 맞아 가족 뮤지컬 루돌프의 크리스마스 선물(오는 14~15일), 글로벌 첼리스트 김해은과 클래식 기타리스트 장대건의 연주(오는 18일), 모스틀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오는 26일) 등 문화공연을 연다.

이어 갤러리에서는 오는 12일부터 변월룡(1916~1990) 화백의 일대기에 초점을 맞춘 회고 전시를 진행한다.

배재석 대구신세계 점장은 “대구신세계는 앞으로도 지역 발전은 물론 지역민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kbj765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