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지하철 공사 통합 주역의 퇴진…공과는?
구의역 사고등 원만 해결…올해 파업 위기도 극적 타결
무기계약직 정규직 전환 논란은 감사원 정책 몰이해 탓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지난 2일 사의를 표명하면서,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초대 CEO로서 그가 일군 공과에도 시선이 쏠린다.

3일 시와 교통공사에 따르면 김 사장은 2017년 5월 31일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의 통합으로 자산 12조, 직원만 1만 5000 명에 이르는 최대 지방공기업 서울교통공사를 탄생시킨 주역이다. 그는 2014년부터 2년간 서울도시철도공사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서울메트로와의 통합을 제안했다. 통합 후 인건비로만 연간 약 214억 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했지만 서울메트로 노동조합의 반대로 통합 논의는 중단됐다. 이후 그는 구의역 사고 등으로 경영 위기를 겪던 서울메트로 사장으로 취임해 양측 노조를 끈질기게 설득, 반대 입장을 뒤집고 통합을 실현시켰다. 통합 이전부터 ‘서울교통공사 기업문화 통합전략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운영의 묘를 발휘해 통합공사의 연착륙을 이끌었다.

그는 안전 중시, 데이터에 기반한 경영으로 서울 지하철에 새 바람을 불러 일으킨 것으로 평가된다. 구의역 사고가 계기가 되긴 했다. 시민 안전을 최고의 가치로 삼아 40여 년 간 이어져온 정시운행을 안전운행으로 패러다임을 바꿨다. 안전관리본부를 신설하고, 호선별 안전관리관을 뒀다. 중복 인력은 현장으로 전환 배치해 안전인력을 우선 확충했고, 철도안전관리 자가진단 툴(Tool) 도입 등 철도안전관리를 체계화했다. 그 결과 2017년에 지하철 1~8호선의 인적오류 발생건수가 총 35건으로 전년도에 비해 약 40%가 줄어들었고, 철도사고가 전년 12건에서 5건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KT에서 잔뼈가 굵었던 김 사장은 지하철 인프라에 첨단 디지털 기술을 입히는 사업도 중점 추진했다. 3D맵, IoT센서, 지능형 CCTV 등은 보안, 재난, 시설물, 고객서비스 분야 등 적재적소에 쓰이며 역사 관리와 열차 운행 관리가 보다 스마트해졌다.

공사는 2018년 3월 1일부로 서울교통공사 무기계약직 총 1288명 전원을 정규직(일반직)으로 일괄 전환하기로 2017년 말에 노조와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김 사장은 이해관계자를 직접 만났다. 서울시의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따른 이 결정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논란거리가 됐고 이후 감사원 감사로까지 이어졌다. 서울시는 감사원의 정책 이해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감사원은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김 사장의 해임까지 권고해 오점으로 남았다.

서비스를 제공할수록 적자가 커지는 지하철의 수익 구조를 완전히 바꿔놓지 못한 건 한계다. 하지만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운영관리 사업권 획득으로 30년간 3조4720억 원 수익 확보, 김포 경전철과 서해선 운영관리 사업권 획득, 신안산선 운영 사업 참여 등 수익구조를 다각화시킨 것은 성과로 꼽힌다.

김 사장은 전 날 박 시장 비서에게 사직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3일에도 공사로 출근해 정상 업무를 봤다. 시 관계자는 “법적 시비가 날 일은 없는 지 만반을 살피기 위해 법률 자문을 받아볼 예정”이라고 했다. 사표 수리 뒤에는 임원추천위원회 구성, 공모, 서류심사와 면접, 시장에 복수 추천과 선정, 선임자 결격 조회, 의회 청문 등 행정절차를 밟아야 하므로 후임 인선은 빨라야 3개월 뒤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사장 사퇴 뒤 후임 인선 전까지는 최정균 안전관리본부장이 사장직을 대신한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