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시위 장기화, 정정 불안에 홍콩 경제 ‘흔들’…韓 수출에도 영향, 국제금융시장 불안 가능성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지난 6월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에 대한 반대 시위로 촉발된 홍콩 시위 사태가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홍콩 경제가 크게 위축돼 우리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무엇보다 홍콩의 대(對) 중국 수출이 위축될 경우 우리나라의 반도체 등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며, 홍콩의 정정불안이 심화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23일 국제금융센터의 ‘홍콩의 자본이탈(Capital Flight) 잠재 요인 점검’ 보고서와 국회예산정책처의 ‘홍콩시위 사태 장기화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보면, 시위 장기화와 중국과 홍콩의 갈등으로 홍콩의 경제불안이 심화하면서 우리나라 수출 및 금융시장에도 영향이 불가피하다.

국제금융센터는 홍콩 사회가 극한 갈등 양상으로 치닫았음에도 불구하고 홍콩 금융시장은 우려보다는 안정적인 모습이지만, 향후 정정불안이 지속될 경우 자본이탈이 불가피할 것으로 평가했다.

홍콩 경제는 올 3분기 성장률이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마이너스(전년대비 -2.9%)를 기록하면서 침체기에 진입했고, 최근 부동산시장도 위축되면서 투자심리가 냉각되고 있다. 특히 홍콩의 반(反)중국 정서로 전체 외자기업 중 18%를 차지하는 중국 기업의 투자환경이 악화되고 있고, 향후 미국의 홍콩인권법이 시행될 가능성이 있어 여타국 기업의 이탈 압력도 배가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홍콩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광의의 통화량 비율이 385%로 전세계 평균의 3배에 이르는 등 과잉유동성도 잠재적 자본이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앞으로 중국이 최악의 상황은 피할 것으로 보이나 단기간에 유화적 조치를 취하기에 정치적 부담이 크고 시위대도 내재적 불만을 해소하기 어려워 대립구도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금융센터는 홍콩의 대규모 자본이탈이 홍콩과 중국의 경제위기를 의미하지는 않으나, 국제금융시장 전반의 주된 불안요인이 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제 규모에 대비한 홍콩 비중이 1991년 21.4%에서 지난해 2.7%로 대폭 축소됐지만, 홍콩의 국제금융중심지 역할과 중국으로의 자본이동 관문 기능이 훼손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경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홍콩의 대중국 수출이 위축될 경우 우리나라의 대홍콩 수출이 감소하면서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예산정책처 분석 결과 홍콩의 대중국 수출이 10% 감소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홍콩 수출이 최소 6분기 동안 그 이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의 25% 이상이 홍콩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대홍콩 수출은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186억달러에서 지난해 460억달러로 확대됐고, 최근 10년 간 연평균 9.5% 증가해 전체 수출액 증가율(4.4%)을 큰 폭으로 상회했다. 이에 따라 전체 수출에서 대홍콩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009년 5.4%에서 지난해 7.5%로 높아졌다.

홍콩의 대한국 수입액 중 90%이상이 제 3국으로 재수출되고 있으며, 중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지난해 82.6%로 80%를 상회하고 있다. 홍콩으로의 수출품목 가운데 지난해 기준으로 전자전기제품이 82%(376억달러)를 차지하고 있고, 이 가운데 반도체는 73%(336억 달러)로 가장 높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