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지방선거 공화 대패…‘보수우세’ 교외지역서 반란 ‘反트럼프 열기’ 확산
켄터키·버지니아·뉴저지서 민주 승리…공화, 미시시피만 수성
WP “공화 지도부 우려할 문제”…WSJ “트럼프 재선 캠페인 한계 드러내”
[EPA]

[헤럴드경제=김현경 기자] 5일(현지시간) 실시된 미국 4개 주(州) 지방선거 결과 공화당이 텃밭에서도 표를 잃으며 민주당에 대패했다. 내년 미 대선을 1년 가량 앞두고 치러진 ‘대선 풍향계’격 선거에서 낙제점을 받으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공화당은 전통적 텃밭이던 켄터키에서 민주당에 주지사 자리를 뺏겼다.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6일 발표된 선거 결과 민주당 앤디 베셔 후보가 49.2%를 득표해 48.8%를 얻은 공화당 매트 베빈 현 주지사를 눌렀다.

켄터키는 트럼프 대통령이 2016년 대선 때 30%포인트의 큰 표차로 이긴 곳으로, 이번 선거 전날에도 직접 유세에 나선 곳이라 트럼프의 패배로 해석된다.

베셔 후보가 승리를 선언한 가운데, 베빈 주지사는 결과에 승복하지 않고 재검표를 요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경합주인 버지니아에선 민주당이 주 상원과 하원에서 모두 다수당을 차지해 25년 만에 처음으로 주의회를 완전히 장악했다.

민주당은 뉴저지 하원 선거에서도 승리하며 이번 선거에서 압승을 거뒀다.

공화당은 텃밭인 미시시피 주지사 선거 한 곳에서만 겨우 자리를 지켰다.

WP는 이번 선거 결과가 교외 지역의 ‘반(反)트럼프 열기’를 강조한다고 분석했다.

민주당이 미국 교외 지역을 정치적 기반으로 바꾸며 꾸준히 전진한다는 점에서 공화당 지도부가 가장 우려할 문제라는 것이다.

미국의 유권자 표심은 크게 도시, 교외, 시골로 나뉜다. 도시는 상대적으로 진보 색채가 강한 민주당 지지세가, 시골은 보수 성향의 공화당 지지세가 우세한 곳으로 간주된다.

도시와 시골의 중간 지대인 교외는 주로 도시에 직장을 둔 중산층 이상 백인이 많이 모여 사는 곳으로 오랜 기간 공화당이 우위를 보여왔으나 근래 민주당의 세력이 확대되고 있다.

CNN은 "지난해 중간선거와 이번 선거 이후 공화당이 교외에서 큰 문제를 갖고 있다는 현실이 자명해졌다"며 “이번 선거 결과는 공화당을 두렵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특히 “버지니아에서 민주당이 다수당을 차지한 것은 다가오는 2020년 대선에 중요한 문제”라고 부연했다.

WSJ도 “선거 결과는 트럼프 재선 캠페인 영향력의 한계를 드러낸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집회와 공화당 후보를 지지하는 트윗은 엇갈린 결과를 낳았다”고 평했다.

p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