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산업단지 태양광 보급사업’ 본격 추진…울산시 “에너지 자립 생태계 구축”
7개 산업단지에 60MW 규모 태양광 시설
발전량은 7만8840MWh, 온실가스 3만6000톤 저감효과

이번 협약에는 울산시, 한국동서발전㈜, 한국에너지공단, 울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자유무역지역입주기업협의회, 신일반산업단지입주기업협의회 등 6개 기관이 참여했다.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울산시가 에너지 자립과 공해 없는 친환경 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태양광 보급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울산시는 21일 상황실(본관 7층)에서 울산의 대표적인 에너지자립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역점사업인 ‘산업단지 지붕 태양광 보급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울산시, 한국동서발전㈜, 한국에너지공단, 울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자유무역지역입주기업협의회, 신일반산업단지입주기업협의회 등 6개 기관이 참여했다.

‘산업단지 지붕 태양광 보급사업’은 분산돼 생산되는 태양광 전력을 중개 사업자가 모아 전력거래소에 공급하는 전력 중개사업이다.

중개사업자는 산업단지 공장 및 유휴 부지를 활용해 설치한 거래처의 모든 태양광 발전시설을 관리·운영하고 발생된 수익은 산업단지 기업체와 공유한다. 이번 사업은 총 9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오는 2022년까지 7개 산업단지에서 발전 규모 60MW의 시설을 3단계(단계별 사업비 300억원, 시설용량 20MW)로 추진될 계획이다.

연간 발전량은 7만8840MWh로 2만1000가구(4인 가구 평균 전기 사용량 기준 350kw/월)가 사용할 수 있는 발전량이며, 온실가스 3만6000톤의 저감효과도 기대된다.

울산시는 우선 1단계 사업으로 총 3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20년 6월까지 자유무역지역과 신일반산업단지 50여개 기업체 지붕에 발전 규모 20MW 태양광 시설을 설치한다.

그동안 산업단지 태양광 발전사업은 기업체의 개별 추진으로 체계적인 보급에 한계가 있었으나, 이번 민·관·공 협력 체계 구축으로 에너지신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지역 에너지산업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산업단지 지붕 태양광 보급사업은 공장의 지붕 등 유휴 부지를 활용해 자연 훼손이 최소화되는 점, 그리고 전기를 소비하는 소비자가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하는 프로슈머(Pros-umer)로의 전환 등 그 의미가 상당하다”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는 오는 2022년까지 태양광 260MW 설치를 목표(누계)로 친환경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공공시설·주택 태양광 보급사업도 확대 추진하고 있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