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내 ‘수소도시’ 3곳 선정된다…2022년 조성완료
기본·특화요소 두루 갖춘 지자체 3곳 선정
안전성 확보 관건…안전기준 강화
2040년 전 국토의 30%를 수소도시로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도시 내에서 수소의 생산과 저장, 이송, 활용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세계 최초의 ‘수소도시’가 2022년 국내에 탄생한다.

수소시범도시 모델안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10일 오전 열린 국무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달 17일부터 지방자치단체의 신청을 받아 12월 수소도시가 될 대상 3곳을 최종 선정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수소 시범도시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수소도시는 도시 내 수소생태계가 구축돼 수소를 기본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도시를 말한다. 이는 정부가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투자 분야로 수소경제를 선정한 데다 수소차, 충전소 등 개별 인프라만으로는 수소경제 확산에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 비롯됐다. 해외에서는 국가 주도의 소규모 수소 기반 주거·산업단지가 조성되거나, 국가사업 종료 후 지자체 사업으로 연계된 사례가 있다.

국토부는 수소기반 도시 구축과 관련해 ‘주거·교통분야에서 수소 활용’과 ‘통합운영센터 설치’ 등을 기본 요소로 삼았다. 이에 따르면 도시 내 공동주택 단지, 개별 건축물에는 연료전지가 설치돼 냉·난방, 전기 등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수소가 활용된다. 도시 내 복합환승센터, 주차장, 버스차고지 등에는 수소차·수소버스 충전소가 설치된다. 통합운영센터는 수소의 공급·저장·이송 현황과 안전성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이 외에 특화요소는 국내기술 중 상용화에 이르지 못한 기술을 적용·실증하는 ‘기술 실증 분야’와 지역특화산업과 거점 인프라에 수소를 접목하는 ‘지역특화 산업 분야’ 등으로 나뉜다.

국토부는 관할 지역 내 일정 범위 안에서 기본·특화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수소 활용계획을 수립한 지자체 3곳을 연내 수소 시범도시로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1곳당 수소 친화 도시계획(MP) 수립과 연료전지, 파이프라인, 통합운영센터 등 핵심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총 사업비 290억원 한도 중 국비 50%를 지원한다. 각 부처의 수소 관련 사업과도 연계해 시범도시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추진전략에는 안전성 강화방안도 포함됐다. 시범도시에는 사고발생 시 시스템이 자동정지되는 안전제어시스템이 의무화된다. 안전기준이 미비한 저압 수소 사용부품에 대해서는 도시가스사업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기준이 적용된다. 전문기관의 안전성 평가, 전문가 컨설팅 등 정부 차원의 안전관리 지원체계도 구축된다.

국토부는 2022년을 수소 시범도시 조성기로 보고 있다. 2030년(확산기)까지 전국 지자체의 10%, 2040년(고도화기)까지는 지자체의 30%를 수소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이상주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수소 시범도시 추진으로 도시 내 수소생태계가 조성돼 주민들이 편리하게 수소를 활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소 경제 활성화도 촉진될 것”이라며 “수소 시범도시는 수용성 확보를 위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