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 2025년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에 13조1000억원 투자
아산 L8라인 일부 8.5세대 QD라인 전환
5년간 8만1000개 일자리창출 기대
성윤모 장관 “민간 투자 적기에 이뤄지도록 맞춤형 지원할 것”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헤럴드DB]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 삼성이 오는 2025년까지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업에 총 13조1000억원을 신규 투자하기로 했다.

최근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 등으로 수익성이 떨어진 대형 LCD 생산라인을 첨단 '퀀텀닷(QD)' 공정으로 일부 전환함으로써 차세대 기술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초격차 전략'에 따른 선제 투자다.

이와 함께 정부, 중소 협력사, 대학 등과 함께 상생협력 협약도 체결함으로써 '동반성장'의 토대를 강화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성윤모 장관이 10일 충남 삼성디스플레이 아산2캠퍼스에서 삼성디스플레이와 충남도, 디스플레이 분야 대학, 연구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같은 내용이 담긴 신규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을 비롯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중소 협력업체, 학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번 투자의 핵심은 대형 LCD를 생산하는 삼성디스플레이 아산1캠퍼스 L8 생산라인의 일부를 QD 디스플레이 공정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시설투자에만 10조원이 투입되고, 차세대 기술 개발 등에 3조1000억원이 들어간다. 'Q1' 라인으로 명명된 이곳에서는 초기에 65인치 초대형 QD 디스플레이 패널을 월 3만장 수준으로 생산하고 이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QD 신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기존 LCD 분야 인력을 'QD' 부문으로 전환 배치하는 동시에 QD 재료 연구와 공정개발 전문인력 등 신규로 채용하기로 했다. 투자가 본격화할 경우 신규 채용을 제외하고도 5년간 약 8만1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추산됐다.

삼성은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업계의 소재·부품·장비 협력업체들을 위한 공급망 안정화, 기술 공동개발, 판로 확보 지원, 물품대금 지급 방식 개선, 인력양성 지원 등의 상생협력 방안도 발표했다.

또 산업부도 최근 경쟁국의 추격, 수출규제 강화 등 불확실성에 대응해 ‘흔들리지 않는 디스플레이 강국’을 유지하기 위해 내년 디스플레이 분야에 1000억원 이상의 예산을 편성했다. 디스플레이 분야 예산은 올해 254억원에 불과했지만 내년 1113억원으로 3.4배 늘렸다.

아울러, 올해부터 2025년까지 1598억원을 투입해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 센터는 신기술 개발 및 검증을 위해 디스플레이 일괄공정라인 테스트베드로 구축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반도체‧디스플레이‧미래차‧바이오‧탄소섬유 등 첨단 신산업 분야에 대한 민간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민관합동투자지원반 운영,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투자애로해소 등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osky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