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민 90% “특권 대물림 교육 심각”
사걱세, 성인 1015명 대상 조사
“대입 제도만 고쳐선 안된다” 50%

조국 법무부 장관 자녀 대입 의혹 등으로 정부와 여당이 대입제도 등 ‘교육 공정성 강화’에 나선 가운데 국민 10명 중 9명은 부모가 지닌 특권이 교육제도를 통해 자녀에게 대물림 되는 사회적 불평등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권 대물림 교육문제 해소를 위해 출신학교 차별금지법 제정과 대학·고교 서열화 해소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걱세)이 여론조사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 거주 만 19세 이상 남녀 1015명을 대상으로 ‘특권 대물림 교육’ 국민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89.8%가 특권 대물림 교육이 ‘심각하다’(매우 심각함 52.6%, 다소 심각함 37.2%)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하지 않음’ 응답(전혀 심각하지 않음 1.5%, 별로 심각하지 않음 7.9%)은 9.4%였으며 ‘잘모름’은 0.8%였다.

또 ‘특권 대물림 교육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4.2%가 ‘공감한다’고 응답(매우 공감함 57.7%, 다소 공감함 26.5%)한 반면 ‘비공감’ 응답(전혀 공감하지 않음 5.0%, 별로 공감하지 않음 8.4%)은 13.4%로,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은 특권 대물림 교육 문제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걱세는 “국민 대다수는 특권 대물림 교육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있으며 문제가 심각하다는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대통령이 천명한 교육개혁의 의미가 우리 사회에 만연한 특권 대물림 교육을 해소해 교육 불평등 및 양극화를 해소해야 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지적했다.

국민 대다수는 ‘특권 대물림 교육’ 해소를 위해 대입제도 개편 뿐만 아니라 출신학교 차별금지법 제정과 대학·고교 서열화 해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 능 정시 확대·학생부종합전형 개선 등 대입 제도 개선으로 특권 대물림 교육이 해소되겠는가’ 질문에 ‘불충분’ 응답이 51.8%, ‘충분’ 응답은 28.7%로, 국민 절반 이상이 대입제도 개편만으로 특권 대물림 교육이 완화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박세환 기자/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