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당혹 속 “북미대화 모멘텀은 유지”…‘촉진자’ 文대통령 역할은 그래도 Go

북미간 ‘촉진자’ 역할을 자임했던 문재인 대통령이 또다시 ‘고(Go)’라는 사인을 냈다. 북한이 미국과 지난 2월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7개월 만에 만난 스웨덴 스톡홀름 실무협상에서 ‘노딜’로 돌아선 이후, ‘일단 스톱(Stop)’을 외친 것과 비교된다. 청와대는 구체적인 상황 파악과 어렵사리 재개된 협상의 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 결렬 소식과 관련해 “북미간 실질적인 진전은 없었지만 양측의 대화 모멘텀은 유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는 실무협상이 이뤄진 자체가 ‘북미대화 재개 시작’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지속적으로 끌어들일 수 있는 동력을 살려나가는 데 집중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 관계자는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의 양측 입장을 바탕으로 대화가 지속할 수 있도록 미국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다만 스웨덴의 ‘2주 내 후속 협상 개최’ 제안에 미국은 동의했지만, 북한은 회의적인 반응이어서 북미 간 협상이 언제 재개될지는 불투명하다는 점에서 청와대는 고민 중이다. 북미간 비핵화 대화가 다시 기로에 선 것이다.

청와대는 이번 북미간 실무협상을 통해 북미 대화가 제 궤도에 올라 이를 계기로 3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북미가 비핵화 해법을 둘러싼 간극을 좁히지 못하면서 문 대통령의 ‘촉진자’ 행보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문 대통령은 북미대화 재개 국면에서 ‘촉진자’ 역할을 위해 지난달 유엔총회 참석차 뉴욕을 방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다.

청와대는 국가안보실과 외교부 등 미국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북한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을 방문해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한미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구체적인 내용 공유와 협상 결렬에 따른 후속 대응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할 가능성에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온다.

한편 문 대통령이 북미간 대화 동력 유지를 위해 ‘촉진자’ 역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미간 정보교류·협력에 그칠 것이 아니라 직접 남북이나 한중 협상 등에 나서야 할 때라는 것이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늦었지만 남북이 무언가 해야할 때가 아닐까 한다”며 “한반도 비핵평화를 위해 북미가 해야 할일만 있겠지만 분명 남북이 할수 있는 일이 있으며,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용기”라고 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북한 비핵화협상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이끌어내기 위해 한국과 미국은 북한경제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조기 방한을 추진하고 대북정책에 대한 한중 및 한미중 전략적 협력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강문규 기자/mkkang@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