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탄핵정국에 민주 경선판도 ‘흔들’...부유세 신설 실효성 논란도 발화
워런·샌더스 주장…이슈화 전망
지난달 27일(현지시간) 2020 미국 대선의 유력한 민주당 후보로 부상하고 있는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 뉴 햄프셔에서 지지자들에게 유세연설을 하고 있다. [EPA]

오는 2020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부자들의 ‘자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부유세(wealth tax)’ 신설의 실효성과 영향에 대한 논의가 점화되고 있다.

‘트럼프 탄핵’ 정국의 혼란을 틈타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이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위협하며 민주당 차기 대선 주자로 급부상, 덩달아 그가 주장해 온 부유세 도입도 구호에만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 다른 유력 민주당 유력 대선 주자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도 최근 한층 더 ‘강력한’ 부유세안을 내놓은 가운데 전문가들은 부유세가 양극화 해소의 열쇠가 될 것이란 기대와 동시에 기업 활동 저하·경기 침체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민주당 주자들이 주장하는 부유세는 기존 노동 수익과 부동산 등에 책정됐던 세금을 주식 포트폴리오나 미술품, 보석 등 소유 자산까지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부유세 도입으로 기대되는 가장 큰 효과는 경제력 집중 완화다. 실제 부유세가 지난 1982년부터 도입됐다고 가정한다면, 지난해 미국 내 부자 상위 15명의 순자산은 적게는 절반(워런)에서 많게는 5분의 1수준으로 감소했을 것으로 분석됐다.

가브리엘 주크만 버클리대 교수는 “부유세는 가장 부유한 사람들의 경제적 권력을 줄임과 동시에 시장을 더 경쟁력 있게 만들고 혁신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부유세에 반대하는 이들은 부유세가 기업의 부담 증가와 투자 감소를 유발시켜 결국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로렌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는 최근 한 기사에서 “세법을 바꾸는 것은 기업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투자를 줄이며, 경제적 효율성마저 저하시킬 것”이라면서 “그것은 단지 ‘성공’을 처벌하는 방법일 분”이라고 비판했다.

손미정 기자/balm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