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살위험 학생 2만명 초과…학생 정신건강 관리 필요”
심리상담·치료 자살 위험 학생 수는 17만명 초과
박찬대 의원 “자살위험 학생 증가 원인 규명·대책 마련 시급”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자살률이 점점 줄어들고 있지만, 오히려 자살위험 학생 수는 점점 늘어나 지난해 2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심리 상담과 치료 학생 수는 약 17만명에 달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30일 박찬대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5년간 ‘학생정서행동 특성검사 결과 및 조치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자살위험 학생은 2만3324명으로, 2015년과 비교해 무려 약 270%가 증가했다. 자살위험 학생 수는 2015년 8613명, 2016년 9624명, 2017년 1만8732명, 2018년 2만3324명으로 계속 늘어나, 지난해 검사 실시 학생 중 1.3%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관심군 학생 수는 2018년 8만7333명으로 나타나 2015년에 비해 143%가 증가했고, 우선관리군 학생 수도 5만9320명으로 같은기간에 166%가 증가했다. 매년 학생정서행동 특성검사 실시 학생 수가 학령인구 감소로 줄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관심군, 우선관리군, 자살위험 학생 수 모두 수치보다 더 많은 비율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학생정서 행동특성검사는 학생들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우울, 자살, 불안 등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사전예방, 조기발견 및 치료지원 등 관리 체계 구축·지원을 위해서 실행하고 있는 검사다. 검사대상은 1·4학년, 중·고 1학년으로 학교 내 검사와 온라인 검사로 나눠져 매년 4월 실시하게 된다. 이후 검사 결과에 따라 일반관리, 우선관리, 자살위험으로 구분돼 관리된다.

현재, 교육부는 대상 학생들에 대해 관심군 학생에 대한 지속관리 등 관리 공백방지와 학교 내·외 학생정신건강 관리 체계 내실화 등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자살위험 학생이 늘어난 것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찬대 의원은 “위험군 통계 뿐만 아니라 실제 10대 청소년들의 자살률 또한 늘고 있다는 것은 큰 문제”라며 “무한경쟁에 몰려 있는 우리 아이들이 점점 갈 곳을 잃고 있다는 것을 가장 크게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 사회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의 정신건강과 대한민국 공동체 발전을 위해 이번 기회에 제대로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