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학종 실태조사, 2020 대입에 변수로 작용할까?…고3 학생·학부모 ‘불안’
자사·특목고 출신 합격자 많은 대학 명시
자사·특목고 “불이익 있지 않을까” 우려
대입 수시심사기간과 겹쳐 대학에 간접적 압박
교육부가 13개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에 착수하면서 학종에 지원한 고3 수험생 학생·학부모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26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교육신뢰회복추진단 회의에서 학종실태조사 계획을 말하고 있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박세환 기자] 조국 법무부 장관 자녀 대학입시 의혹으로 교육부가 최근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 실태조사’에 나선 가운데 2020학년도 대입 학종에 지원한 학생과 학부모들이 어떤 영향을 받을지 불안해 하고 있다. 학종 실태조사 기간과 대입 수시 서류 평가기간과 겹치기 때문이다.

30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27일부터 10월말까지 한 달간 1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학종실태 조사에 착수했다.

9월초 수시원서를 접수한 고3 수험생과 학부모는 실태조사가 대학의 평가 기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위반사항에 대한 제재는 물론이고 서류 기재 내용에 대한 검증이 한층 더 깐깐해질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특히 교육부가 조사 대상 대학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학종 선발 비율 외에 자사·특목고 출신 합격자가 많은 대학을 명시하면서 올해 수시에서 자사·특목고 수험생이 불리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자녀가 서울지역 자사고 3학년인 한 학부모는 “12년을 준비한 대입이 코 앞인데 갑자기 학종 실태조사 하면서 마치 자사·특목고생들이 공정하지 않은 방법으로 대학에 들어가는 것으로 매도되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학종을 비롯해 수시 전형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를 평가하는 것인데 특정 학교의 진학률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입시전문업체로 학종실태 조사 영향을 문의하는 학부모들이 늘고 있다. 한 입시전문업체 상담컨설턴트는 “상대적으로 자사·특목고 합격자 비중이 높은 대학에 지원한 학부모들이 불안한 마음에 문의 전화를 해온다”며 “수시 서류 심사 기간 중에 실태조사를 진행해 ‘간접적으로 대학을 압박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일반고 수험생들도 실태조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인천의 한 고등학교 3학년인 김모군은 “자사·특목고에 비해 일반고가 열악했던 ‘자동봉진(자율·동아리·봉사·진로 활동)’을 주말과 밤잠 줄이며 준비했는데 갑작스러운 조사로 이런 노력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할까 두렵다”고 말했다.

대학도 부담이긴 마찬가지다. 한창 입시로 바쁜 시기에 특정 감사 전환 가능성까지 열어놓은 실태조사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실태조사 대상인 서울의 한 대학 관계자는 “말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실태조사라지만 부담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며 “학종에서 정성적인 평가기준 설정이 문제가 될 텐데, 이런 조사는 결국 조사자의 의도대로 결론이 나게 돼 있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