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자사고 해체 수순?…‘학종 실태조사’ 실효성 의문
지원자 개인의 전수조사 아닌
대학 고교등급제 적용여부 초점

정부가 조국 법무부 장관 자녀 대학 입학 의혹으로 불거진 대입 공정성 논란 해결을 위한 첫 단추로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 실태 조사에 나서기로 한 가운데 학종실태조사의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부는 학종 선발 비율이 높은 대학 중 자사·특목고 출신 학생이 많은 13개 대학을 상대로 학종 실태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조사 대상은 건국대, 광운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 홍익대 등 13곳이다.

교육부가 학종 실태조사에 착수하기로한 13개 대학의 자사·특목고 출신 학생 비율을 보면 포항공대의 경우 2019학년도 신입생 중 자사·특목고 출신 비율이 56.8%에 달했다.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에서도 신입생 중 자사·특목고 출신이 30~40%였다.

대학들의 이같은 대입 결과를 반영하듯 입시전문업체들은 수시예측 등에서 고교등급제를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실제로 A입시전문업체는 대학 수시 합격 예측시 고등학교를 5개 등급으로 구분해 분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입시업계 한 관계자는 “대학들이 블라인드 평가를 한다고 하지만 학생부만 봐도 이 학생이 자사·특목고 학생인지 일반고 학생인지 파악할 수 있다”며 “입시 결과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교육부의 학종 실태조사와 관련 ‘자사·특목고 죽이기’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관계자는 “조사 대상 대학 선발 방식에서 ‘자사·특목고 죽이기’ 의도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실태조사 발표 시점이 대학들이 수시 1차 합격자를 발표하는 때”라며 “대학들은 당장 자사고, 특목고 학생을 뽑기 부담스러워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학 실태조사에 이어 학생부 비교과영역 폐지가 현실화한다면, 자사·특목고 죽이기 의도는 확연한 것”이라며 “비교과영역 폐지는 곧 내신 비중 증가를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박세환 기자/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