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집값 담합 신고 46%는 서울… 대부분 수도권에 몰려
집값담합신고센터에 열달간 162건 접수
서울 75건, 수도권 159건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집값담합 신고센터에 설립된 집갑담합 의심 사례 중 절반 가량이 서울에 있으며, 대부분은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더불어민주당 이후삼 국회의원(충북 제천 단양)이 한국감정원으로부터 받은 ‘집값담합 신고센터 운영현황’에 따르면, 센터가 운영되기 시작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7월까지 총 162건의 가격 담합 및 조장행위 등이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46%인 75건이 서울이었으며, 수도권은 전체의 98%인 159건이었다. 세종시를 포함한 광역시가 8건, 기타 지방 시·군은 단 3건만 접수됐다.

담합행위로 신고 된 유형에 대해서는 단체가 55건, 개인이 48건, 중개업자는 33건 등으로 특정 단체를 꾸리고 조직적인 가격 담합행위를 부추키는 의혹이 일정 부분 사실인 것으로 추정된다.

센터는 기초 검증을 거쳐 담합 의심내역을 국토부에 통보하고, 국토부는 이를 검토 공정거래위원회·경찰 등에 조사·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센터는 지난해 지나친 부동산 가격 상승의 한 원인으로 주택 소유자의 집단적인 담합행위가 지목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해 10월부터 한국감정원 내에 설치됐다. 내년부터는 부동산거래질서교란행위 신고센터로 변경하여 부동산 거래질서 행위 신고를 받게 될 예정이다.

이후삼 의원은 “집값 담합행위는 건전한 시장 질서를 해치는 행위로서 엄단해야 된다”며 “국토부와 한국감정원은 내년부터 시행될 부동산거래질서교란행위 신고센터를 통해 보다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