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화학 “유럽 車배터리 생산 확대 예견된 일…소송전과 무관”
-폭스바겐 배터리 내재화·유럽 업체 컨소시엄 구성 등
-“한국업체간 소송전 악영향 미쳤다는 주장 근거없다”
-핵심기술 보호 통해 기술격차 유지하는게 국익에 도움
-“국익 운운말라”…대화가능성도 열어놔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LG화학이 최근 국내 업체간 소송전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점유율 하락이 우려된다는 주장과 관련, 이를 반박하는 입장을 내놨다.

LG화학은 10일 입장문을 통해 “당사와 SK이노베이션의 소송으로 국가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된다는 시각이 있다”며 “최근 독일 폭스바겐이 스웨덴 노스볼트와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을 발표한 데 이어 유럽연합 국가들이 두 번째 유럽 배터리 생산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하고 있는 것을 두고 국내 업체간 소송이 악영향을 미쳤다는 얘기가 있는데 이는 전혀 근거없는 추정”이라고 선을 그었다.

지난해 허버트 디이스 폭스바겐 CEO가 “아시아 회사들로부터의 의존도를 장기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발표하는 등 향후 아시아 물량을 가능한 줄이고, 내재화한다는 전략을 발표했고, 노스볼트와의 합작사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라는 것이다.

LG화학은 “유럽의 이러한 움직임은 특정 업체에만 의존하는 구조를 탈피하고, 지역 내 생산기지를 확보하면서 자체적인 배터리 공급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며 “소송 여파가 아닌 EU주도의 배터리 내재화 차원으로 업계에서는 이미 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헤럴드]

또 아우디와 포르쉐가 공동으로 개발한 프리미엄 전기차 플랫폼(PPE) 배터리 공급과 관련, 중국 업체가 이를 수주한 것을 두고도 비슷한 논란이 있었는데, 이 역시 국내 소송전 영향이 아니라 중국 업체의 가격 경쟁력과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둔 선택으로 알려지고 있다는 게 LG화학의 주장이다.

LG화학은 이와 함께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기술격차를 계속 유지해야하며 이를 위해 기술보호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최근 중국 업체의 약진과 유럽의 배터리 내재화 등의 흐름 속에서 국내 업체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제품력, 기술력, 원가 경쟁력에서 격차를 지속 유지하는 것이 핵심 경쟁력이라는 것이다.

실제 LG화학의 경우 2017년 10월 중국 배터리 회사인 ATL을 안전성 강화 분리막 기술 특허 침해로 ITC에 소송을 제기해 올해 초 ATL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기술 격차 유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LG화학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업들의 소송을 국내 업체끼리라는 이유만으로 국익을 해친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며 오히려 기업들이 쌓아온 영업비밀과 특허가 정당하게 보장되는 것이 중요하다”며 “소송 결과가 나오면 어느 한쪽이 큰 타격을 입기에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는 논리도 맞지 않고, 소송에 대해 불리해진다고 판단된다면 당연히 합의를 모색하는 것이 기업의 생리”라고 못박았다.

한편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과의 대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합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일각에선 양사 CEO가 추석 명절 이후 회동을 가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LG화학은 “만약 SK이노베이션이 영업비밀을 침해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면 신속하게 결과가 나오는 ITC를 통해 이를 명백히 밝혀 기술력을 인정받는 계기로 삼으면 된다”며 “반면 잘못이 있다면 이를 인정하고 양사가 진지하게 대화하고 정당한 보상을 논의하면 된다”고 밝혔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