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돈의문 박물관마을 ‘돈먹는 하마’ 되나
박원순표 도시재생 대표사례
사업초기부터 잦은 설계변경
공사비 374억으로 66% 급증
미정산 이자도 年11억에 달해
市성과 위한 무리한 추진 ‘뒷탈’
2단계 경찰박물관 사업도 연기
돈의문 박물관마을 전경. [서울시 제공]

박원순 시장이 역점적으로 추진한 서울시 도시재생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돈의문 박물관마을이 지속적으로 혈세를 쏟아부어야 하는 ‘돈먹는 하마’가 될 처지에 놓였다. 종로구와 서울시 간에 소유권 정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잦은 설계 변경으로 인한 공사비 증액, 공사비 미지급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등 사업비만 불어나고 있어서다.

10일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돈의문 박물관마을은 부지 9770㎡에 마을전시관(16개동), 체험교육관(9개동), 마을창작소(9개동) 등으로 이뤄진 마을 전체가 박물관이다. 애초 ‘돈의문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 촉진계획에 따라 전면 철거 뒤 근린공원을 조성, 종로구에 귀속하는 계획이었지만, 시는 1800년대 지적(地籍) 상의 길·토지가 그대로 남아있는 점 등 역사적 가치를 고려해 기존 건물과 골목을 존치시켜 역사문화마을을 조성하는 것으로 바꿨다.

조성에 드는 총 사업비는 1212억원이며, 그 중 공사비만 374억3500만원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사, 용역, 조달구매 등을 대행했는데, 공사비 정산이 끝나지 않은 채 이자만 불어나고 있다.

SH공사에 따르면 이 사업 이자액은 지난해까지 13억5100만원, 올해 9억1000만원 등 올 연말 기준 22억6000만원으로 산정된다. 시중금리 3%를 적용해 산출했다. 내년에는 9억2000만원이 예상된다. 공사는 지난해 10월 시에 사업비 정산을 요청했으나, 시의 설계변경에 따른 공사비 검증 추진 등 절차 상의 이유로 아직까지 지급되지 못하고 있다.

시는 지난 6일 끝난 서울시의회 임시회에서 1단계 사업비 정산과 2단계 조성사업계획을 포함시켜, 예산편성을 위한 마지막 단계인 공유재산관리계획 의결을 받으려했으나, 관련 상임위에서 삭제되고 말았다. 사업비 검증이 끝나지 않았고, 2단계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애초 SH공사는 선 투자 뒤 임대수익으로 사업비를 회수하는 ‘공유재산 위탁개발’ 방식으로 참여하기로 했다가, 소유권 정리가 끝나지 않은 상태에선 어려워 공사(工事) 대행만 하게 됐다.

이후 지난해 5월 박원순 시장이 주재한 박물관마을 활성화 관련 회의에서 수익 구조 중심에서 문화시설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업이 재설계돼, 수익과는 더욱 멀어졌다. 애초 시와 SH공사 간에 총사업비 규모를 확정하지 않고 대행협약을 맺어 추진한 탓에 사업비는 2016년 225억원에서 2019년 374억원으로 무려 149억원(66%) 늘었다.

돈의문 박물관마을 사업이 이렇게 꼬인 건 사업계획초기에 박원순 시장의 도시재생사업 성과를 내기 위해 타당성 조사 없이 무리하게 추진했기 때문이란 시각이 많다. 지방재정법에 따라 500억원 이상 신규사업은 전문기관의 타당성 조사와 투자심사를 받아야하지만 시는 그러지 않았다. 2017년에 첫 개최한 국제행사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전시장소로서 박원순시장의 서울 도시재생의 모범사례가 시급하게 필요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시는 2017년에 첫 개최한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전시장소로서 돈의문 박물관마을을 활용한 뒤, 방문객이 찾지 않아 ‘유령마을’이 되자, 올해 4월부터 복고풍 체험공간인 ‘살아있는 박물관 마을’을 운영했다. 이후 방문자 수가 늘어 5~7월 3개월 간 모두 15만4000명, 하루 평균 1973명이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옛 돈의문을 디지털로 복원한 사업도 벌였다.

시는 2단계 사업으로 2020년 말 경찰박물관이 이전하면, 그 자리에 4층 높이의 (가칭)근대개항기시민사체험관을 건립하고, 교통순찰대 주차장 부지 자리에는 소공원을 짓는 계획으로 용역을 진행 중이다. 애초 교통순찰대 주차장 부지에 도시형 한옥을 둬 관광 숙박시설로 이용하려했으나, 계획을 철회했다.

이처럼 잦은 사업 계획 변경과 더딘 이용 활성화로 인해 편익시설 민간위탁 사업은 애초 5개를 모집하려다 2개 만 선정되는데 그쳤다. 전통찻집과 커피숍 등 2곳이 운영 중이다. 시는 나머지 편익시설에 대해서도 민간위탁 사업자 모집 공고를 냈으나 단 한 곳도 신청하지 않아 재공고 절차를 밟고 있다.

한 시의원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절차적인 것을 완전히 무시한게 많다. 어떤 지자체는 절차가 안되어서 사업 추진이 안되는 것도 있다. 어느 중앙조직보다 엄청난 사업을 하는 서울시에서 계획도 없이 결과물을 낸 졸렬한 사업이다. 이런 사업이 어디있냐”고 비판했다.

한지숙 기자/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