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 넉달 연속 수주량 세계 1위…8월에도 정상 수성
-韓, 8월 전세계 발주량 74% 1위…1~8月 누계 35%로 중국(38%) 바짝 추격

[헤럴드경제=정순식 기자] 지난달 한국이 전세계 선박 발주량 100만CGT((표준화물 환산톤수·33척) 중 74%(74만CGT, 21척)를 수주하며 중국(26만CGT, 11척)을 제치고 5월 이후 넉 달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누적 수주량에서 한국은 4월 한때 1위 중국과 17%포인트까지 격차가 벌어졌으나 지난달 기준 중국 502만CGT(38%), 한국 464만CGT(35%)로 3%포인트까지 좁혔다. 남은 일감(수주잔량)도 지난해 대비 한국만 유일하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8월 한 달간 전세계 선박 발주량은 100만CGT(33척)를 기록해 전 달 65만CGT(30척) 대비 54% 증가했다. 이 중 한국이 74만CGT(21척)를 수주하며 26만CGT(11척)를 수주한 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8월 신규 수주가 없었다.

올해 1~8월 누계 수주 실적은 1331만CGT로 중국 502만CGT(210척) 38%, 한국 464만CGT(120척) 35%, 일본 160만CGT(87척) 12%, 이탈리아 114만CGT(15척) 9% 순이었다. 이는 지난해 2321만CGT와 비교해 43% 감소한 규모다.

올해 누계 발주량을 선종별로 살펴보면 유조선은 작년보다 2배 가까이 발주가 증가(70만CGT → 134만CGT)한 반면, 대형 LNG선(14만㎥이상), 초대형 유조선(VLCC), 컨테이너선(1만2000TEU급 이상) 및 벌크선 등의 발주량은 감소해 선종별로 차이를 보였다.

수주잔량에서는 8월말 기준 전세계 수주잔량은 7월말 대비 74만CGT(1%↓) 감소한 7670만CGT였다. 이 가운데 일본은 51만CGT, 중국은 41만CGT가 감소한 반면, 한국만 유일하게 28만CGT(1%↑) 증가했다. 작년 동기와 비교해도 중국과 일본은 각각 328만CGT(11%↓), 455만CGT(25%↓)로 크게 감소했으며 한국만 80만CGT(4%↑) 증가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746만CGT(36%)에 이어 한국 2044만CGT(27%), 일본 1335만CGT(17%) 순이었다.

이어 8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지난달 대비 1포인트 하락한 130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LNG선과 유조선(VLCC)은 가격 변동 없이 각각 1억8550만 달러와 9250만 달러를 기록했고,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 2만~2만2000TEU) 역시 지난달 50만 달러씩 상승한 이후 각각 1억1150만 달러, 1억4650만 달러를 유지 중이다.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