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8월 구직급여 지급액 7256억원…올해 8조원 넘을 듯
고용보험 피보험자 54만5천명 증가…9년 3개월 만에 최대 폭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정부가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에게 주는 구직급여 지급액이 지난달에도 7000억원을 넘어서는 등 올해 연간 8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9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8월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7256억원으로, 작년 동월(6158억원)보다 17.8% 증가했다.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한 7월 지급액(7589억원)보다는 적지만, 또 7000억원을 넘어섰다. 고용부가 매월 발표하는 노동시장의 주요 특징은 고용보험 등 행정 통계를 토대로 한 것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자영업자, 주 15시간 미만 노동자, 공무원 등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된다.

올해 1∼8월 구직급여 지급액을 모두 합하면 5조5412억원에 달했다.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구직급여 지급 총액은 8조원을 넘을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구직급여 지급액의 증가세가 고용 한파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오지만, 고용부는 구직급여 수급 자격이 있는 고용보험 피보험자를 확대하는 등 고용 안전망을 강화한 결과라는 입장이다.

구직급여의 생계 보장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상·하한액을 높인 것도 지급액 증가세에 영향을 미쳤다.실제로 지난달 구직급여 수급자는 47만3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8.5% 증가했고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7만8000명으로, 1.6% 늘어난데 비해 구직급여액 증가폭은 17%이상 증가했다.

수급자 1인당 구직급여 수급액은 지난달 153만5000원이었고 한 번 수급할 때 평균 금액은 139만1000원이었다. 수급자는 1∼4주의 범위에서 정해진 '실업 인정일'에 구직급여를 받는데 한 달에 두 번 받는 경우도 있다.

또 지난달 고용보험 피보험자는 1375만7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4만5000명(4.1%) 증가했다. 증가 폭이 2010년 5월 이후 9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하지만 제조업의 피보험자는 357만5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의 타격을 받는 반도체 제조업을 포함한 전자통신업의 피보험자는 700명 줄어 4개월 만에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반도체 제조업의 피보험자는 3600명 늘어 증가세를 유지했다. 일본 수출 규제가 아직은 피보험자 증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게 노동부의 설명이다.

지난달에도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가세를 이끈 것은 서비스업이었다. 서비스업의 피보험자는 933만3000천명으로, 52만6000명(6.0%) 증가했다. 서비스업에서도 피보험자 증가 폭이 큰 업종은 보건복지업(16만2000명), 숙박음식업(7만5000명), 도소매업(5만5000명) 등이었다. 공공부문 고용 증가로 공공행정의 피보험자도 3만5000명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피보험자는 지난달 161만3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15.5% 증가해 전체 연령대를 통틀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60세 이상 피보험자는 주로 보건복지업,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증가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