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업문화 혁신하려면…‘다니기 좋은 회사’ 아닌 ‘일하기 좋은 회사’ 여야
-대한상의 기업문화 혁신 6가지 키워드 분석
-원칙 재정비, 일관되고 지속적인 메시지, 본질과 핵심에 집중, 디지털 기술로 변화 촉진, 기업문화팀을 조력자로, 리더십으로 완성 등
[헤럴드경제 DB]

[헤럴드경제=정순식 기자]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문화 혁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6가지 키워드를 공개했다.

대한상의는 9일 ‘기업문화 Insight Report’를 통해 기업문화 혁신에 공들여온 기업의 성공 노하우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6가지 키워드는 ▷원칙의 재정비 ▷일관되고 지속적인 메시지 ▷본질과 핵심에 집중 ▷디지털 기술로 변화 촉진 ▷기업문화팀을 조력자로 ▷리더십으로 완성 등이다.

대한상의는 “기업문화 변화에 대한 관심과 열의는 높지만 대개 복지확충이나 일회성 이벤트에 그쳐 뚜렷한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기업문화 개선에 성공한 기업들을 살펴보면 ‘일이 되게’ 하는 회사를 만든다는 목표에 집중해 총체적 변화를 도모한다는 공통점이 발견된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기업문화 커피살롱에서 발표된 4개 기업(두산, 티몬, 한국마이크로소프트, 현대카드)의 사례를 토대로 핵심 비법 6가지를 도출했다.

기업문화 혁신 성공의 첫 비결로 원칙의 재정비와 관련해 ‘운영 철학 재정립’이 꼽혔다. 단순히 현재 모습을 부정하며 직원에게 변화를 채근할 것이 아니라, 미래상(像)을 명확히 하고 구성원이 나침반으로 삼을 수 있는 행동원칙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일관되고 지속적인 메시지는 기업문화 원칙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활동으로 작용한다. 거창한 선포식을 통해 기업문화 철학을 천명하기보다 일상 업무에 녹일 수 있는 다양한 방편을 찾아 긴 호흡으로 뚝심있게 이끌어 가야 한다는 뜻이다.

본질과 핵심에 집중하는 키워드는 겉치레, 형식주의와 과감한 결별을 뜻한다. 자료작성, 발표준비 등 본질과 먼 업무에 많은 에너지를 쏟는다는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

디지털 기술로 변화를 촉진하는 원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직원의 행동 변화를 ‘넛지(Nudge)’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직원에게 변화를 요구하기 보다 변화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여기에 디지털 기술이 효과적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기업문화팀을 조력자로의 키워드는 기업문화 전담팀에 전폭적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선진기업일수록 기업문화 전담팀이 경영진의 확고한 지지를 받으며 조직 성과창출의 ‘조력자’로 자리매김했다는 분석이다. 상의는 “기업문화팀은 본질적으로 ‘잔소리’를 담당하다보니 ‘가만있는게 도와주는 거다’ 같은 조직원의 냉소를 겪는다”며 “이들에 힘을 실어주지 않으면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기’가 반복돼 기업문화는 제자리걸음에 그친다”고 말했다.

끝으로 리더십으로 완성의 키워드는 리더가 혁신의 ‘열외’가 아닌 ‘열쇠’가 돼야 한다고 분석했다.

박준 대한상의 기업문화팀장은 “기업문화 혁신은 단기간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 번에 만드는 ‘주조’가 아닌 담금질을 계속해야 하는 ‘단조’라 할 수 있다”며 “이들 선도기업의 성공방정식을 참고해 더 많은 기업이 기업문화 개선에 나서고 기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보고서를 발간하게 됐다”고 말했다.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