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다리 불편한 고령자용 아이언맨 수트, 부산 스마트시티에 등장한다
규제 샌드박스 활성화 사업 일환
고령자·장애인 대상 서비스 다수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다리가 불편한 고령자의 다리가 되어줄 웨어러블(착용형) 로봇, 시각 장애인이 스마트폰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무장애 정보 플랫폼 등 혁신기술들이 세종, 부산에서 활로를 찾는다.

국토교통부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와 공동으로 7월부터 시행한 ‘국가 시범도시 규제 샌드박스(규제 유예제도) 활성화 사업’ 공모 결과 세종에서 7개, 부산에서 11개 등 총 18개 사업이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올해 2월 발표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에 담긴 핵심 서비스를 규제 제약 없이 실험해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기획됐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에는 실증사업 계획 수립을 위한 비용 2~3억원이 지원된다. 올해 말 후속평가를 거쳐 우수한 사업 2, 3건에 한해 내년부터 규제특례와 실증비용 5~10억원이 지원된다.

선정된 사업을 보면 세종은 ▷헬스케어(2건) ▷생활·안전(2건) ▷모빌리티(1건) 순, 부산은 ▷헬스케어(5건)▷로봇(3건) ▷안전(1건) 순으로 시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 비중이 높았다. 특히 경로당 내 노인들의 자가 건강관리를 돕는 시니어 맞춤형 헬스케어 플랫폼, 병원 내 신체약자의 이동을 보조하는 이송로봇 등 고령자·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가 다수 접수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모든 사람들이 소외되지 않고 혜택을 받는 포용적 스마트시티 조성을 향해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또 사업 참여 기관 46곳 중 지역기업이 26곳으로 절반이 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선정된 기관 간 소통과 협업을 위해 별도 협의체를 구성·운영한다. 특허에 대한 전문적인 검토·지원을 받기 위한 법률 자문기관을 두는 등 사업관리도 체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y2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