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공기관 부채 2023년까지 5년간 87조원 증가…부채비율은 168% 수준으로 유지
정부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확정…일자리·성장동력 등 투자 확대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공공기관들이 일자리 창출과 성장동력 창출 및 안전 부분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 동안 부채가 87조3000억원 늘어나 586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자산도 큰폭으로 늘어나 부채비율은 168%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획재정부는 2일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한국전력·토지주택공사(LH)·철도공사 등 39개 공공기관의 ‘2019∼2023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확정해 3일 국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이번 계획에 공공기관들의 재무건전성을 안정적인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기관별로 일자리 창출, 성장동력 확충, 안전 강화에 반드시 필요한 중장기 투자 소요를 반영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향후 5년간 공공기관의 투자가 확대되면서 자산은 143조원, 부채는 87조4000억원 증가해 2023년 자산이 935조원, 부채는 586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부채비율은 올해 170.0%로 지난해보다 0.3%포인트 상승하지만, 2023년까지 168%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39개 기관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167%에서 올해 170%로 상승하지만 2020~2021년에 167%로 낮아지고, 2022~2023년에는 168%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재부는 올해 일시 상승하는 것은 회계기준 변경과 건보공단・한전 등 일부 기관의 실적이 악화되는 것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자가 수반되는 금융부채는 지난해 366조3000억원에서 올해 380조원으로 늘어나는 등 2023년까지 매년 20조원 안팎씩 증가해 2023년에는 452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와 대비하면 71조8000억원, 지난해 실적과 비교하면 86조원 급증하는 것이다. 기재부는 하지만 총자산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올해의 48% 수준이 2023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올해 1조6000억원 적자로 지난해 7000억원 흑자에 비해 2조3000억원 악화되지만, 2020년 4조8000억원 흑자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4조8000억~6조3000억원의 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한전과 건보공단 실적이 점차 회복되는 것에 주로 기인한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공공기관에 대한 재무건전성 관리 노력을 지속해나갈 계획으로, 공공기관별 투자 집행 및 부채 관리 등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의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이를 매년 경영평가에 반영할 방침이다.

동시에 자본잠식 등으로 재무적 지속가능성이 우려되는 기관에 대해서는 주무부처와 함께 면밀히 관리하는 한편, 내실있는 출자・출연 협의, 예비타당성 조사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등을 통해 공공기관의 책임성 확보와 적기 투자를 차질없이 뒷받침해나갈 계획이라고 기재부는 강조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