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첫 청년자율예산 335억 확정
서울청년시민회의서 투표로 83개 사업 선정

[헤럴드경제]청년들이 정책 기획부터 편성까지 주도하는 서울시 청년자율예산이 335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3회 서울청년시민회의'에서 총 83개 사업, 335억원 규모의 청년자율예산제 편성안이 통과됐다.

올해 처음 도입된 청년자율예산제는 서울시 정책 예산 중 일부를 청년들이 직접편성하는 제도다. 지난 5개월 동안 서울청년시민위원 500여명이 숙의, 토론, 공론화 과정을 거쳐 시정숙의형 41개, 자치구 숙의형 42개 등 총 83개 사업의 예산안을 마련했다.

예산안은 현장에서 온·오프라인 투표(일반시민 50%, 서울청년시민위원 50%)를 거쳐 확정됐다. 투표(엠보팅)에는 8391명이 참여했다.

애초 예산안은 총 344억원이 편성됐으나 득표율이 낮은 37개 사업 예산이 5∼15%씩 삭감되면서 전체 예산 규모가 약간 줄었다.

가장 예산 규모가 큰 사업은 서울형 중소기업 복리후생 계좌제다.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 노동자에게 복리후생비를 지원하는 이 사업에는 50억원이 편성됐다.

다음으로 46억6000만원이 편성된 서울형 청년 주거비 지원사업도 높은 득표율(24.9%)로 원안대로 통과됐다. 이 사업은 청년 3000명에게 주거비 15만원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노동 안정 수당 도입, 유급병가제 대상 확대 등을 골자로 한 청년 프리랜서 안전망 종합대책에도 35억4000만원이 편성됐다.

이밖에 29억원 규모의 자치구 청년거버넌스 구축을 비롯해 자치구 청년정책 공동포럼, 청년 1인 가구 지원사업, 청년 건강증진 종합대책, 청년 종합실태조사 및 청년정책 연구센터 설립, 은둔형 외톨이 청년의 사회적 자립 지원, 채식하기 편한 서울 사업 등도 높은 득표율(15% 이상)로 통과됐다.

확정된 예산안은 내년도 서울시 예산에 반영된다. 서울시가 10월까지 예산안을 마련하면 11월 서울시의회 심의·의결을 거쳐 편성이 최종 확정된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