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연구소로 달려간 구광모 회장…“핵심 소재·부품의 경쟁력 확보가 LG 성장의 근간”
- LG화학 대전 연구원 방문…차세대 소재?부품 R&D 과제 개발 현황과 전략 방향 설명 듣고 논의
- 취임 2년차들어 미래 경쟁력 강화 행보 본격화
구광모 LG 대표(가운데)가 차세대 OLED 시장 선도를 위한 핵심 공정 기술인 '솔루블 OLED' 개발 현황에 대해 연구개발 책임자들과 논의하고 있다. [LG그룹제공]

[헤럴드경제=정순식 기자] ‘LG 4세 경영’을 본격화하고 있는 구광모 ㈜LG 회장(사진)이 그룹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 능력의 극대화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잇따라 그룹의 R&D 메카를 찾아 기술 경쟁력의 확보를 주문하는 모습이다.

구 회장은 지난 29일 대전에 위치한 LG화학 기술연구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핵심 소재·부품의 경쟁력 확보가 LG의 미래 제품력을 강화하고,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는 근간”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에는 권영수 LG 부회장과 노기수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사장), 김명환 LG화학 배터리연구소장(사장),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사장 등이 동행하며 구 회장과 소재·부품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R&D 프로세스 혁신 등의 중장기 R&D 전략 방향 등을 논의했다.

구 회장은 앞서 지난달 11일 LG그룹 장비 R&D의 핵심인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을 방문하기도 했다.

구 회장은 이날 ▷3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솔루블OLED ▷메탈로센 POE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차세대 소재·부품 R&D 과제별 책임자들에게 개발 현황과 전략 등을 상세히 설명듣고 논의했다. 이들기술은 LG그룹의 미래 성장동력과 직결된 ‘핵심 과제’들로 꼽힌다.

구 회장은 이 자리에서 “미래 R&D 과제를 제대로 선정하고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고객 최우선 경영 활동의 출발점”이라며 “단기적 관점에서 단지 해 볼만한 수준의 과제가 아닌 진정으로 고객 가치를 혁신할 수 있는 도전적인 R&D 과제, 또 고객과 시장 트렌드 변화를 철저히 반영한 R&D 과제를 선정해서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 회장은 이어 “최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육성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며 “LG화학의 R&D 성과는 국내 소재·부품 경쟁력 강화는 물론 전방 산업의 공급망 안정화에도 직결되는 만큼, 자긍심을 갖고 연구개발에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

올해 취임 2년차를 맞는 구 회장의 현장경영에는 미래 먹거리와 이를 위한 R&D 능력의 극대화라는 키워드가 공통으로 관통하고 있다. 특히 최근 일본 정부가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 대상에서 제외함에 따라 부품·소재의 기술 경쟁력이 갖는 중요성이 한층 주목받으며 구 회장의 R&D 행보에 더욱 이목이 쏠리고 있다.

앞서 구 회장은 지난해 취임 후 첫 현장경영 방문지와 올해 새해 인사 장소로 ‘LG 사이언스 파크’를 택한 바 있다. 총 4조원이 투입된 LG 사이언스 파크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연구단지로 LG의 미래를 책임질 R&D 메카다. 올해 2월과 4월에는 각각 한국과 미국에서 개최된 R&D 석·박사 초청행사인 ‘테크 콘퍼런스’에 참석해 우수 인재 확보에 힘을 싣기도 했다.

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