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래도 삼성의 ‘투자시계’는 돌아간다
인도 가구·가전 대여 ‘렌토모조’ 47억 투자
3~5년이내 印 스타트업 100개 투자 목표
한일갈등 등 악재불구 미래동력 발굴 가속

한일 갈등 격화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대법 판결 등 대내외 초대형 악재 속에서도 삼성의 투자시계는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특히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글로벌 스타트업 투자는 전방위로 진행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넥스트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인도의 스타트업 1곳에 약 47억원을 추가 투자했다. 향후 3~5년내 100개 인도 스타트업 투자를 목표로 13억명 인도 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29일 전자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자회사 삼성벤처투자(SVIC)는 일본 미쓰이스미토모벤처캐피털과 함께 인도의 가구 및 가전 온라인 대여 스타트업 ‘렌토모조(Rentomojo)’에 2억7700만루피(약 47억원)를 투자했다. 이는 삼성벤처투자가 향후 3~5년간 인도에서 100여개 스타트업 투자를 단행하겠다는 계획의 일환이다.

렌토모조는 가구와 생활가전 등을 월단위로 대여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삼성전자 갤럭시S10+나 스마트 QLED TV도 최장 36개월까지 빌려준다. 현지 언론은 이번 투자가 삼성전자와 렌토모조에 ‘윈윈’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전자는 렌토모조 투자로 인도의 소비자 전자제품 대여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일 수 있고, 벵갈루루에 기반한 렌토모조 역시 다른 도시로 확대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해석이다.

삼성전자는 렌토모조 외에도 그동안 인도 스타트업 OS랩스(인더스OS), 실반 이노베이션 랩스, Gnani.ai 등 4곳에 850만달러(약 103억원)를 투자해왔다. 매년 100만명에 달하는 젊은 고급 IT인력이 배출되는 인도에서 차세대 먹거리 발굴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이다.

OS랩스는 40만개의 앱이 모여있는 앱스토어 ‘인더스 앱 바자(Indus App Bazaar)’를 개발한 업체다. 삼성전자는 인도 현지 12개 언어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인더스 앱 바자’를 갤럭시 앱스토어에 통합해 중국 샤오미에 밀린 인도 스마트폰 시장 1위를 탈환한다는 복안이다.

Gnani.ai는 인도 방언을 자동으로 번역·요약해주는 비즈니스 연설 관련 기술 개발 회사이고, 실반 이노베이션 랩스는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업체다. 알로크나트 데 삼성전자 인도법인 벵갈루루 R&D센터 최고기술책임자는 “인도의 스타트업 업계는 인공지능(AI), IoT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이들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로 윈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작년 7월 인도 노이다 스마트폰 공장 준공식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난데 이어 올해 초에도 문재인 대통령 초청으로 방한한 모디 총리를 만나 경제협력을 공고히 했다.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슬로건 아래 제조업 중심의 친기업 정책을 펴온 모디 정부는 올해 집권 2기를 맞아 스타트업 저변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모디 정부는 2024년까지 5만개 이상의 스타트업 기업이 새롭게 출범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등 지원을 강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천예선 기자/che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