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사회에서의 성공 요인’ 20대와 40대 생각은
-40대 ‘개인역량’ 20대는 ‘집안배경’ 중시

[연합]

[헤럴드경제=박승원 기자] 한국사회에서의 성공 요인에 대한 세대별 생각을 담은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한국사회에서의 성공 요인으로 1997년 외환위기 쇼크를 경험한 현재 40대는 개인의 노력과 역량을 다른 세대에 비해 중시한 반면, 1990년대 태어난 20대는 상대적으로 집안 등 사회적 배경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는 메디치미디어가 운영하는 온라인미디어 ‘피렌체의 식탁’이 ‘X세대에서 낀낀 세대로; 40대 그들은 누구인가’라는 주제로 오는 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하는 창간 1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위해 조사한 결과다.

피렌체의 식탁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를 통해 전국 40~49세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했다. 다른 세대와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 윤호영 서울시립대 객원교수에 의뢰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결과도 분석했다.

미번 조사에서 40대 응답자 43.1%는 인생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현대사 사건으로 ‘1997년 외환위기’를 꼽았다.

1970년대생은 경제 위기로 학창 시절 가정이 붕괴하거나 사회진출 시기에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등 직접적인 피해를 봐 충격이 더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사회에서의 성공요인’에 관한 설문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모든 세대가 ‘정치적 연고·부유한 집안’이 중요하다고 꼽았지만, 항목별로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100점으로 환산한 한국사회 성공요인에서 70년대생이 ‘부유한 집안’을 꼽은 수치는 49.7이다. 60년대생(51.6), 80년대생(52.1), 90년대생(55.6)보다 낮았다.

반면에 ‘노력’은 70년대생이 37.3으로 60년대생(35.3), 90년대생(36.9)에 비해 높았다. ‘학력’을 중시하는 수치 또한 70년대생이 가장 높고, 90년대생이 가장 낮았다.

이같은 결과는 70년대생이 집안의 배경보다 개인의 노력과 학력 등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이는 공정성에 대한 평가의 세대 간 격차로 이어져 70년대생은 기술, 노력, 학력, 경력과 관련해 ‘개인이 받는 공정대우’에 대해 긍정 평가가 59.1로 높은 반면, 80년대생은 57.3, 90년대생은 55.9로 떨어졌다.

혈연, 지연, 학연 등과 관련된 ‘절차적 공정성’에 대한 평가도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부정적이었다.

윤호영 교수는 “70년대생은 대체로 본인의 학력과 노력과 같은 항목을 다른 세대보다 더 중요시한다”며 “반면 90년대생은 부유한 집안이 성공에서 중요하다고 보는 정도가 매우 높고, 사회적 구조에 의한 제약에 대해 매우 민감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70년대생이 겪은 사회적 경험은 그들이 ‘생존을 위한 전략’에 민감하게 만들었으며, 이들은 사회 성향에 적응하고 있으면서도 사회적 가치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고 진단했다.

pow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